[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뉴욕증시는 잭슨홀 이벤트를 앞둔 경계감 속에 19일(현지시간) 대형 기술주들이 급락하면서 나스닥지수와 S&P500지수가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45포인트(0.02%) 오른 4만4922.27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7.78포인트(0.59%) 내린 6411.37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14.82포인트(1.46%) 떨어진 2만1314.95로 집계됐다.
이날 대형 기술주와 대표 반도체 기업 주가가 크게 밀리며 하락 분위기를 주도했다.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AI 조형물 |
엔비디아 주가는 3.5% 내렸고, AMD와 브로드컴(Broadcom)은 각각 5.44%, 3.55% 하락했다. 고성장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는 9.35% 급락하며 S&P 500 구성 종목 중 가장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테슬라도 1.75% 내리고, 메타 플랫폼스와 넷플릭스가 각각 2.07%, 2.48% 떨어지는 등 주요 기술주들도 압박을 받았다.
링컨파이낸셜 최고투자책임자 제이슨 브론케티는 "인공지능(AI) 관련 투자가 무너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일 수 있다"면서 "4월 이후 나스닥이 40% 이상 급등한 만큼, 역사적으로도 최근 경제 지표와 예상되는 연준 정책을 반영해 시장이 재조정하는 과정에서 잠시 멈춤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본이 마진 확대와 효율성 개선을 위해 AI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하는 더 많은 업종의 기업으로 이동하면서, 섹터 로테이션과 더 폭넓은 참여가 더 탄탄한 상승세를 뒷받침할 수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등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도 일부 투자자들이 기술주에서 차익을 실현하고 다른 섹터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움직임은 해당 종목들이 주요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시장 전반으로 파급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주 핵심 이벤트는 8월 21~23일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리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례 심포지엄이다. 이 자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은 미국 경제와 통화정책 전망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해리스 파이낸셜 그룹 매니징 파트너 제임스 콕스는 "투자자들이 잭슨홀을 앞두고 다소 헤지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파월 의장이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매파적(hawkish)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LSEG가 집계한 금리선물 시장에 따르면, 올해 총 두 차례(각각 25bp)의 금리 인하가 반영돼 있으며, 첫 인하는 9월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소비 여력을 가늠할 핵심 변수로 꼽히는 소매업체 실적에도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개장 전 발표된 홈디포의 2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고금리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들이 대규모 주택 개보수에서 소규모 DIY(직접 시공) 프로젝트로 눈을 돌린 탓이다. 다만 연간 가이던스가 유지된 데 투자자들이 안도하며 주가는 3.17% 상승 마감했다.
한편 인텔은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자본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에 6.97% 급등했다.
사이버보안 기업 팔로알토네트웍스는 2026 회계연도 매출과 이익 전망치를 시장 기대치를 웃돌게 제시한 뒤 3.06% 상승했다.
반면 메드트로닉은 3.14% 하락했다. 행동주의 투자펀드 엘리엇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가 대규모 지분을 취득한 후 회사가 이사회에 신규 이사 2명을 추가하겠다고 밝힌 영향이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