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반도체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른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해 최근 경영난에 빠진 인텔의 10%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공식화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상무부가 인텔 지분 인수와 관련한 세부사항을 조율 중"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측면에서 미국의 필요를 최우선에 두고 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창의적 접근"이라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도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본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무상으로 지급하려 했던 보조금을 지분으로 바꿔 미국 납세자에게 돌아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왜 1천억 달러 규모의 기업에 이런 돈을 그냥 줘야 하나. 트럼프 대통령의 답변은 '우리 돈에 대한 지분을 확보하라'는 것"이라며 "우리는 바이든 행정부 때 약속한 돈을 제공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얻어 납세자들에게 실질적 이익을 돌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사진=로이터 뉴스핌] |
러트닉 장관은 "반도체법은 부유한 기업들에 돈을 무상으로 주는 정책이었다. 왜 미국이 대만 TSMC 같은 1조 달러 규모의 기업에 돈을 줘야 하느냐"며 "트럼프 대통령은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바이든 행정부는 인텔과 TSMC 등 모든 기업에 돈을 그냥 줬지만, 우리는 납세자를 위한 더 나은 거래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인텔의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협상을 진행 중이며, 성사될 경우 정부가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인텔은 상업용 및 군사용 생산을 위해 총 109억 달러의 칩스법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이번 조치는 경영권 참여가 아닌 무의결권 지분 확보"라며 정부가 인텔 경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러트닉 장관은 인텔에 투자하는 배경에 대해 "국가 안보를 위해 우리는 직접 반도체를 만들어야 한다"며 "중국과 80마일밖에 떨어지지 않은 대만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반도체를 비롯해 원자력 발전소 등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를 위한 인프라를 스스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밖에 최근 한국·일본과의 무역 협상을 통해 두 나라가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9천억 달러(일본 5천500억 달러, 한국 3천500억 달러)를 중국과의 경쟁을 위한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일본의 소프트뱅크그룹(SBG)도 인텔에 20억달러를 출자한다고 발표했다.인텔은 최첨단 반도체 개발 경쟁에서 TSMC와 삼성전자에 뒤처지며 경영난에 빠져있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