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 국채금리가 24일(현지시간) 회사채와 국채 공급 확대 영향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하루 전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 데 이어, 대규모 채권 발행이 시장 금리에 압박을 준 것이다.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벤치마크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2.1bp(1bp=0.01%포인트) 오른 4.14%에 거래됐다. 30년물은 1bp 오른 4.747%, 5년물은 3.4bp 오른 3.715%를 기록했다. 반면 2년물은 4bp 내린 3.602%로 장을 마쳤다.
![]() |
미 국채 10년물 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09.25 koinwon@newspim.com |
◆ 회사채·국채 발행 급증에 금리 압박
수급 부담이 특히 두드러졌다.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이 180억 달러 규모 6개 구간 선순위 채권을 발행하는 등 수십억 달러대의 대형 회사채가 시장에 쏟아졌다.
BMO 캐피털마켓츠는 "이 거래만으로도 9월 회사채 발행액이 지난해 9월 기록했던 1780억 달러 기록을 넘어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진행된 700억 달러 규모의 5년물 미 국채 입찰도 응찰률이 2.34배에 그치며 수요가 다소 부진했다.
BMO캐피털의 미국 금리 전략가인 베일 하트먼은 "이날 국채 시장 약세는 거시경제 펀더멘털보다는 회사채와 국채 공급 부담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DRW트레이딩의 루 브라이언 전략가도 "프라이머리 딜러들이 전체 물량의 11.5%를 떠안은 것은 수요가 약했다는 방증"이라고 평가했다.
◆ 연준 신중론 속 추가 인하 기대 여전
시장은 여전히 10월 연준 회의에서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0월 금리 인하 확률은 94%, 동결 확률은 6%로 반영됐다. 연말까지 총 44bp 인하가 가격에 반영돼 있다.
다만 파월 의장이 전날 "성급한 인하는 인플레이션 재점화 위험이 있다"며 균형 잡힌 접근을 강조하면서, 채권시장은 매파적 해석도 더해지고 있다. BMO는 "최근 2년물 움직임은 연준 내 매파적 시각을 시장이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 달러, 파월 발언 후 강세 전환
외환시장에서는 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로 돌아섰다. 주요 6개 통화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65% 오른 97.87을 기록하며 최근 2거래일 연속 약세에서 반등했다.
달러/엔 환율은 0.83% 오른 148.85엔으로 3주 만에 최고치를 찍었고, 달러/스위스프랑은 0.54% 상승한 0.795프랑이었다.
유로화는 독일 기업 경기심리가 예상 밖으로 악화하면서 달러 대비 0.69% 하락한 1.1734달러에 거래됐다. 파운드화도 0.58% 내린 1.3443달러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6일 나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등 경제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PCE는 연준이 선호하는 핵심 물가지표로, 향후 금리 경로에 중요한 단서를 줄 전망이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