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글로벌

美, 러 코인거래소 '가란텍스' 제재...北 해커도 자금 세탁 의혹

기사등록 : 2025-08-15 04: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 정부가 러시아 기반 가상화폐 거래소 '가란텍스'(Garantex)를 제재하면서, 운영진체포를 위해 최대 600만 달러(약 79억 원)의 현상금을 걸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알래스카 미·러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발표됐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14일(현지시간) 가란텍스를 제재 대상으로 재지정하고, 후신격인 '그리넥스'(Grinex), 러시아·키르기스스탄 국적의 임원 3명, 그리고 6개 연관 기업을 추가 제재한다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 [사진=로이터 뉴스핌]

미 국무부는 이와함께 초국가 조직범죄 포상금 프로그램(TOCRP)에 따라, 가란텍스의 운영자인 러시아인 알렉산드르 미라 세르다에 대한 체포 및 유죄 판결로 이어지는 정보 제공에 최대 500만 달러, 다른 2명과 관련해서는 각각 최대 100만 달러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가란텍스는 2019년 이후 최소 960억 달러에 달하는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했으며, 이 중 1억 달러 이상이 다크웹, 랜섬웨어 등 불법 활동과 직접 연관됐다고 미 재무부는 밝혔다.

특히 북한 연계 해킹 조직들도 가란텍스를 통해 자금 세탁을 해왔으며 이는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전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미 국토안보부(USSS)는 지난 3월 독일·핀란드 당국과 공동으로 가란텍스의 웹 도메인을 압수하고, 2600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동결한 바 있다. 

이번 제재 조치는 미·러 정상회담 의제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발표 시점이 회담 하루 전이라는 점에서 러시아를 우회적으로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kckim100@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