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6·27 가계대출 방안 이후 대출 하락세, 2조2000억원 증가

기사등록 : 2025-08-13 15: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주담대 4조1000억원 증가, 은행권 3조4000억원·제2금융권 7000억원
"전세가격 변동은 크지 않은 상황, 하반기 이사 수요로 모니터링 필요"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6·27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안 이후 7월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지난 3월 이후 최저치인 2조2000원 증가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금융위원회는 13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 기관과 은행연합회, 5대 시중 은행, 농협·수협·신협·새마을금고중앙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갖고 7월 가계대출 동향을 점검했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표 제공=금융위원회]2025.08.13 dedanhi@newspim.com

7월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4조1000억원 증가해 전월 6조1000억원 증가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으며, 은행권이 전달 5조1000억원 증가에서 3조4000억원 증가로, 제2금융권 역시 1조1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모두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 대출은 1조9000억원 감소해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최근 증가세를 유지하던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점에 기인한다. 신용대출은 전달 7000억원 증가에서 1조1000억원 감소로 바뀌었다.

주택담보대출은 4조1000억원 증가해 전월 6조1000억원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으며, 은행권(+5조1000억원→+3조4000억원)과 제2금융권(+1조1000억원→+7000억원) 모두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1조9000원 감소해 전월 3000억원 증가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최근 증가세를 유지하던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7000억원→△1조1000억원)된 점 등에 기인한다.

회의 참석자들은 이날 통상 자금 수요가 증가하는 7월의 계절적 요인에도 주담대와 기타대출 증가세가 모두 둔화된 것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또 참석자들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시행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전세가격 흐름은 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으로 금번 대책 시행에 따른 전세 시장의 불안 요인은 크지 않다"며 "다만 하반기 이사 수요 등으로 전세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지역별 대출동향 일일점검, 주택거래 동향 등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향후 주택시장 과열이나 가계부채 증가추세가 지속되지 않도록 부동산 관련 불법·탈법·이상거래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함께 관계기관간 정보를 공유하여 엄정히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최근 고가주택의 신고가 발생 사례 등과 관련해 신고가 신고 이후 철회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행위 등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행위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고가주택의 자금출처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세금신고가 적정하게 이루어졌는지도 검증할 예정이다. 

dedanhi@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