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7-30 13:41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 관세 발효일인 8월 1일을 이틀 앞두고 우리 정부가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협상에 나섰지만 자동차 부품업계의 '신음'은 계속될 전망이다.
대부분 중소기업인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에게는 관세율이 일본, 유럽연합(EU)이 합의한 15% 수준으로 낮아지더라도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수준이 아닌 적자 상황에 몰려 기업 존립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 |
수출용 자동차 선적.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사진=현대차] |
30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225억 달러(한화 약 31조원)다. 이 중 대미 수출액은 역대 최대치인 약 82억2000만 달러(한화 약 11조4000억원)로 가장 높은 36.5%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은 중소기업 수출 의존도가 높은 품목으로 지난해 기준 중소기업 전체 수출 중 차지하는 비중이 상위 4위인 품목이다.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조치와 함께 자동차 부품에도 지난 5월부터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하며 관련 중소기업들의 직접적인 수출 비용 부담이 커진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관세 대상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은 2600여개에 달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리보다 먼저 협상을 마친 일본과 EU가 자동차 부품에 대해 각각 15%의 관세율로 합의했다는 점은 자동차 부품업계에는 '위로'가 되지 않는 분위기다. '기초 체력이 약한' 중소기업에게는 15% 관세율도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고율 관세이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는 15%의 관세가 확정되면 연간 약 5조~6조원 수준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다만 단기에는 가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가격 결정력이 있고, 미국 현지화 전략에 따라 점차 관세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체력이 있다.
또한 대규모 대미 투자 등을 약속하며 미국 정부에 관세 외의 혜택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개별 협상력도 어느 정도 있다.
![]() |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오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통상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며 인터뷰를 하고 있다. 구 부총리와 베센트 장관의 회담은 '25%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를 하루 앞두고 양국간 통상논의를 최종 조율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5.07.29 yooksa@newspim.com |
반면 중소기업 중심의 자동차 부품사들에게 개별 협상력과 미국 현지에 생산 기반을 갖출 능력은 없다. 또한 대부분의 자동차 부품사들이 현대차·기아 등에 납품하는 1,2차 협력사(벤더)여서 현대차·기아가 요구하는 납품단가에 맞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현행 25% 관세가 유지되면 중소 자동차 부품사들의 미국 수출 물량이 최대 40%가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15%로 낮아진다고 해도 '수익성 악화→고용 축소→기술 투자 축소→수익성 악화'라는 악순환은 여전할 공산이 크다.
또한 대체로 중소기업들이 서울 등 수도권보다는 지역에 위치하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지역 경기 위축의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국가 전체 경제적으로는 위기 요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오는 31일 예정된 한미 관세 협상테이블에는 미국 내 차량 조립용 부품에 대해 최대 2년간 한시적으로 관세 완화를 적용하는 방안이 오를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협상 결과 자동차 부품에 대한 품목 관세율이 15%로 낮아진다 해도 국내 중소기업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 국회의 정책적 지원과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대기업의 상생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