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7-09 11:31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보수정당인 국민의힘에 '여심(女心)'이 짙어졌다. '송언석호'에서 당 정책을 총괄하는 정책위의장에 3선의 김정재 의원(경북포항시 북구)이, 신설된 원내정책수석에는 재선의 김은혜 의원(경기성남시 분당구을)이 각각 임명됐다.
여기에 더해 21대 대선 패배 후 당 쇄신을 이끌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까지 합류하면서 '송언석호'를 이끌 주요 보직에 여성들이 자리잡게 됐다. '3女'가 이끄는 국민의힘이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을 얼마나 설득할 수 있을지가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김정재 저출생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저출생대응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06.14 leehs@newspim.com |
김 정책위의장은 수도권과 지방을 아우를 수 있는 균형감 있는 인재로 평가된다. 보수의 본산인 경북 포항에서 태어나 고교시절까지 보낸 후, 대학부터는 줄곧 서울에서 지냈다. 때문에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2번의 서울시의원을 경험하고 20대 국회에 입성하는 등 정치적 근본도 선명하다. 지방의회를 거쳐 국회로 진출한 '정통파'라는 점에서 율사 출신과 같은 '외부 수혈론'의 대안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원내대변인과 정책위원회 부의장 등 주요 당직을 거치면서 당내 사정에도 정통하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윈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등 여러 상임위원회를 거치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점 역시 주목할 점이다.
'원내 정책'을 이끌고 있는 김 원내정책수석은 보수정당의 수도권 재선 여성의원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다른 말로 '귀한 분'이다. 김 원내정책수석이 다른 여성의원들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선거 경험이다. 비례대표가 아닌 치열한 당내 경선을 거쳤고, 수도권에서 상대당 후보와의 혈전(血戰)을 통해 당선증을 거머쥔 인물이라는 점에서다.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당 간사를 맡은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2025.01.16 mironj19@newspim.com |
21대 총선에서 현직 프리미엄을 안은 당시 여당 의원이었던 김병관 전 의원을 꺾으면서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자 출신으로 정치 흐름에 민감한 수도권에 안착했다는 평이며, 지난 2022년 경기도지사 선거에 당 후보로 출마하는 등 중량감도 상당하다. MB정부에서 대통령실 대변인, 윤석열 정부에서 홍보수석 등 국정 운영에 참여해본 경험 역시 장점이다.
다양한 경험을 살려 지난 21대 대선에서 국민의힘이 발표한 수도권 공약들 중 상당수에 김 원내정책수석의 아이디어가 포함됐다고 한다. 현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소속돼 있는 만큼, 부동산 정책에 민감한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을 유인할 적임자로 평가된다.
9일 임명된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보수진영에서 알아주는 '경제통'이다.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부터 알음알음 이름을 알렸다.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윤희숙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 공약개발단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김문수 대선 후보의 경제 공약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5.18 mironj19@newspim.com |
KDI 재직 당시 문재인 정부의 재정·복지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정계 입문의 발판이 됐다. 21대 총선에 당선됐으나, 부친의 부동산 투기 논란으로 사임했다.
'기획재정부 출신 공무원' 일색인 보수정당에서 희소 가치가 있는 '민간 경제 전문가'라는 점에서 당 안팎의 기대치가 높다. 정·관·학계를 넘나드는 인적 네트워크 역시 주목할 만하다. 최근까지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장으로 분해 당을 향해 공개적인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는 '레드팀'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특정 계파에 소속돼 있지 않으며, 소신에 따라 발언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강단 있는 성격으로 통한다. 지난 21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 공약개발단장으로 활동하면서 당의 경제 정책의 근본을 세우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21대 대선 패배에 대한 현실 직시와 함께 당 쇄신을 위한 방안 역시 페이스북 등을 통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 있는 만큼, 쇄신과 함께 당의 외연 확장을 위한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righ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