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지난해 금융권 해외 부동산 투자 56조원...부실우려 2.59조원

기사등록 : 2025-07-03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AI 번역중
총 대체투자 잔액 56조원, 전분기 대비 2000억원 증가
보험권 30.1조원 최다, 지역별로는 북미 35조원
기한이익상실(EOD) 2.59조원,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지난해 국내 금융권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5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잠재적 손실(부실투자)는 2조59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말 기준 56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2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 7234조1000억원 대비 0.8% 수준이다.

[자료=금감원]

업권별로는 보험이 30조1000억원(53.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은행 12조5000억원(22.3%), 증권 7조6000억원(13.6%), 상호금융 3조7000억원(6.5%), 여전 2조원(3.5%),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원(62.5%)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3000억원(18.4%), 아시아 3조8000억원(6.9%), 기타 및 복수지역 6조8000억원(12.2%) 순이다.

만기별로는 2025년이 8조3000억원(14.9%), 2030년이 39조7000억원(70.9%)으로 나타났다.

작년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1000억원 중 2조5900억원(7.59%)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이는 전분기 2조6400억원 대비 500억원 줄이든 규모다.

EOD는 채무자 신용위험이 높아져 금융기관이 만기 전 대출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잠재적 손실 위험으로 분류된다.

금감원은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코로나 이후 회복 기조를 보이고 있으나 경기 둔화 우려, 자금조달 환경의 불확실성 등으로 회복 속도는 더딘 편"이라며 "해외 부동산 투자의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이 지연되는 가운데, 공실률 등이 높은 오피스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총자산 대비 1% 미만이며 양호한 자본비율 등 손실흡수능력 감안시 투자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오피스 투자 자산에 대해서는 손실인식 적정성 점검, 감정평가 최신화 등 맞춤형 감독을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peterbreak22@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