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6-05 09:36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대적인 관세 정책이 향후 10년 간 미국의 재정적자를 최대 2조 8000억 달러(약 3823조 4000억 원) 감축시킬 수 있단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동시에 미국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리고, 물가를 끌어올리며, 가계 구매력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경고도 함께 제시됐다.
4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미 의회예산처(CBO)는 이날 민주당 지도부에 보낸 서한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올 1월부터 5월 사이 행정명령으로 발표한 광범위한 관세 조치가 가져올 경제적 파급을 평가한 결과에서 이같은 수치를 제시했다.CBO는 트럼프 관세가 향후 10년간 상당한 재정적자 축소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예측하면서도, 전체적인 가계 자산은 감소하고 미국 경제도 위축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06%포인트(p)씩 낮아질 것이며, 2025~2026년 사이에는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0.4%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CBO의 분석은 기존 주요 연구기관의 예측과도 대체로 일치한다.
지난 4월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이 운영하는 '펜 와튼 예산 모델(Penn Wharton Budget Model)'도 장기적으로 미국 GDP가 약 6%, 실질임금이 5%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전날 보고서에서 2026년 미국의 성장률이 1.5%까지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세 수입이 재정적자를 일부 줄인다 해도 관세 부작용에 따른 경제 성장률 둔화는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과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오히려 끌어올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구나 이날 CBO는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감세안으로 향후 10년간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2조 4200억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