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3-20 16:32
[세종=뉴스핌] 민경하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코로나19 피해지원·고용안정뿐 아니라 사태 진정 후 소비·투자 극대화를 위한 대책을 지금부터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외신들과 만난 홍 부총리는 손자병법의 '교토삼굴(狡免三窟)'을 예로 들었다. '꾀 많은 토끼는 굴을 세 개 만든다'는 뜻으로 사태 이후의 대책도 미리 준비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홍 부총리는 "사태가 진정됐다고 판단될 경우 대한민국 동행세일, 5대 소비쿠폰 등 소비붐업을 유도할 계획"이라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예상되는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한국정부는 코로나19 조기극복을 위해 선제(Preemptive)‧신속(Prompt)‧정확(Precise), 3P 원칙에 따라 대응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한국 정부의 정책 방향으로 ▲방역과 경제의 균형 ▲민간-정부의 협조 ▲다층적 안전망 구축 ▲신속한 위기대응 ▲사태진정 이후 준비 ▲국제공조 제안 등을 들었다.
이어 "입국제한·국경통제는 세계경제 축소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며 "한국은 특별입국절차·자가진단앱을 통해 효율적으로 감염원 유입을 차단해 시민의 자율적인 선택으로 시장경제활동을 가능하도록 했다"고 했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현 사태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상의 강한 국제사회 공조를 필요로 한다"며 "글로벌 방역, 인적·물적이동 제한 완화, 글로벌 금융안전망, 재정·통화정책 공조 등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G7정상의 공동대응 성명서와 같이 신흥국을 포함하고 있는 G20의 대응이 더 빨라질 필요가 있다"며 "한국은 G20 정상들 간 긴급 화상회의 개최를 제안하는 등 국제공조를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은 전세계 국가에게 한국의 성공적인 방역모델과 함께 경제대응 모델도 함께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