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허고운 기자 = 주한 미국대사관은 26일 트위터에 한국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깊이 실망하고 우려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을 방어하는 것을 더욱 복잡하게 하고 미군 병력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글로 적었다.
미국대사관의 트윗은 25일(현지시간) 오후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이 자신의 트위터에 적은 글을 한글로 옮긴 것이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지난 20일 국내 대기업 임원들과의 비공개 조찬간담회에서 지소미아가 파기되면 안 된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트위터에는 지소미아 관련 글을 적지 않고 있다.
그는 지소미아 종료 발표가 있었던 22일 전북 군산의 미군 기지를 찾아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23~24일 대구, 25일 부산, 26일 울산을 잇따라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 국무부는 지난 22일 논평을 통해 “미국은 문재인 정부가 지소미아를 연장하지 않은 데 대해 강한 우려와 실망을 표명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도 “실망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도 비슷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당국은 “미국과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협의해 왔다”고 설명했으나 일각에선 한미 외교당국 간 정보 교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 국방부 역시 한국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 “강한 우려와 실망감을 표명한다”는 논평을 내놓았다. 마크 에스퍼 미 국방부 장관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도 ‘강한 우려와 실망’이란 표현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heog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