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환경부가 추진하는 2026년 노후상수도정비 신규사업에서 9건이 선정돼 국비 1404억 원을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경남도가 그동안 확보한 상수도 정비 국비 사업 중 최대 규모다.
노후상수도 정비사업은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부식된 관망을 교체해 녹물 발생을 막고 누수를 줄이며 유수율을 높이는 사업이다.
![]() |
경남도가 환경부가 추진하는 2026년 노후상수도정비 신규사업에 9건 선정되어, 국비 1,404억 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5.01.11 |
블록화 시스템과 스마트 유지관리 체계를 도입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돗물 공급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평가받고 있다.
환경부는 매년 유수율과 관로 노후도, 지자체 행정 역량, 누수 저감 효과 등을 고려해 사업을 선정하며 전국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경남도는 지난 1년간 환경부에 정비 시급성과 필요성을 적극 설명해 나간 결과, 역대 최다인 9건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경남도의 사업 선정 건수는 ▲2024년 4건(393억 원)▲2025년 5건(808억 원)▲2026년 9건(1404억 원)으로 3년 연속 확대세를 이어가고 있다.
도는 확보한 국비를 바탕으로 시·군과 협조 체계를 구축해 관망 정비와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체계적인 상수도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국 최초로 실시설계용역 발주를 2025년 말까지 완료하고, 2026년 1월에 공사 수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김용만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이번 국비 1,404억 원 확보는 경남도의 정책적 의지와 행정력이 만들어낸 결실"이라며 "도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수도 관리 인프라 고도화와 물 복지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이번 성과로 상수도 분야 국비사업을 3년 연속 확대, 선도 지자체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으며 앞으로도 정부와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물 환경 조성과 도민 복지 증진에 힘쓸 방침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