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생산적 금융 확대에 전사적 지원을 다하기 위해 '성장 동력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신재생에너지, 첨단 전략 산업, 혁신 기업 등 국가 경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산업 영역을 적극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생산적 영역으로 자본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이 금융의 본질적 역할임을 인식하고 ▲그룹 차원의 경영진 협의체 구성 ▲전담 조직 신설 ▲성과 창출 등 세 축을 기반으로 견고한 실행 체계를 구축한다.
먼저 오는 30일 각 계열사별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그룹 생산적 금융 협의회'를 출범한다.
![]() |
[사진=KB금융그룹] |
KB증권 김성현 대표, KB자산운용 김영성 대표, KB인베스트먼트 윤법렬 대표 등 주요 계열사 사장단을 비롯해 기업금융과 투자금융(IB), 자산운용은 물론 전략·재무·리스크·인사·연구소·리서치센터 등 각 부문 경영진이 폭넓게 참여한다.
의장은 KB증권 김성현 대표가 맡는다. 김 대표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그룹의 CIB부문장을 역임하며 그룹의 CIB 비즈니스를 주도해 왔다. 기업금융·자본시장 전반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생산적 금융의 전사적 추진에 큰 힘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의회를 통해 ▲그룹의 생산적 금융 전략 방향 수립 ▲계열사별 구체적 추진방안 논의 ▲그룹 기업금융 및 투자금융 비즈니스 체계 개선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이슈 조정과 현안 해결 등 미래 전략산업에 대한 그룹 차원의 다각적인 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KB국민은행, KB증권 등에 생산적 금융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내부 시스템과 조직체계를 정비한다.
KB국민은행은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심사와 생산적금융 지원을 전담할 '첨단전략산업 심사 Unit'과 '성장금융추진 Unit'을 신설한다.
KB증권은 관련 산업과 기업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리서치 조직을 강화하고 KB자산운용은 첨단전략산업에 특화된 운용조직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적 부가가치를 높일 유망기업을 발굴하는 선구안을 높이고 차별화된 지원을 위한 전문 역량과 인프라를 강화한다.
또한, 장기적으로 부동산담보 대출 의존도를 낮추고 생산적 금융을 확대하는 등 포트폴리오를 재편한다. 이에 따라 올해 말에는 계열사 부동산금융 관련 영업조직은 축소하고 기업·인프라금융 조직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KB금융은 국가 성장동력 확보와 신재생에너지 시장 선도를 위한 모험자본 공급, 신성장 산업 투자에서 적극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KB국민은행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국내 에너지 금융주선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을 정도로 명실상부한 선도 지위를 갖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국내 최대규모 해상풍력발전 제주한림해상풍력(100MW) 프로젝트를 금융주선 완료했고 현재 ▲안마(532MW) ▲신안·우이(390MW) ▲한동·평대(104MW) ▲압해(90MW) 등 4건의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금융주선을 진행하고 있다.
KB자산운용과 KB인베스트먼트 역시 정부의 산업육성 기조에 발맞춰 모험자본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KB인베스트먼트는 지난 11일 모태펀드 2025년 2차 정시 출자 사업에서 'NEXT UNICORN PROJECT' 스케일업 딥테크 부문에서 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운용사(GP)로 최종 선정됐다.
KB자산운용은 지난 7월에 정부가 국가 성장동력으로 제시한 6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KB 새로운 대한민국 펀드'를 출시해 9일만에 설정액 3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시장의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