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정책과 관련 "신규 원전 2기와 SMR(소형모듈원전)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지난 16일 저녁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취임(7월 21일)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정책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신규원전을 공론화하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 "저는 입장이 명확하다"면서 "신규 원전 2기와 SMR은 해야 된다"고 제시했다.
이어 "제11차 전기본(전력수급기본계획)은 지금 당장이 아니라 2035년의 전력수요를 대비하는 것"이라면서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 전력수요가 불가피하고 적절한 에너지믹스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결국 그렇게(신규원전 건설)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부 장관으로서 에너지가격(전기요금)이라든지 안정적인 전력 공급 측면에서 원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계속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6일 저녁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정책 현안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5.09.16 dream@newspim.com |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확대 개편과 관련해서는 "아마도 아쉬운 맘이 제일 큰 사람이 저일 것 같다"면서 "에너지쪽(두산에너빌리티)에서 왔던 사람 입장에서 안타깝고 아쉬운 마음이 크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렇지만 정부 정책 전체에서 정해진 결정이라 수용해야 된다"면서 "그 과정에서 제가 우려한 것은 산업과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성환 장관이 '산업과 에너지가 한 몸, 한 형제'라는 표현을 쓰셨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 "기후에너지환경부 약칭을 '에너지부'로 하고 싶다"고 제시했다.
이어 "에너지 파트가 환경을 이끌어 가줬으면 좋겠다"면서 "같이 있을 때보다 떨어져 있을 때 더 잘 됐으면, 잘 되도록 만들어야겠다"고 강조했다.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6일 저녁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정책 현안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5.09.16 dream@newspim.com |
김 장관은 또 원전수출과 원전산업이 분리된 것과 관련 부작용 우려도 언급했다.
그는 "원전수출과 원전산업 부분은 국내 원전을 짓는 이슈와 글로벌 차원에서 원전수출은 좀 다르게 본다"면서 "최근 원전에 대한 글로벌 수요를 감안했을 때 통상을 맡고 있는, 국내 400~500개 정도 되는 기업들과 연관되어 있는 산업부에서 맡고 있는 게 적절하겠다는 판단을 하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부작용이 있느니 없느니, 제 생각에는 에너지부가 나갈 때부터 그런 부작용에 대한 이슈는 얼마든지 있었던 것"이라면서 "마찬가지로 그런 부분들을 슬기롭게 해내야 되는 미션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의 웨스팅하우스와 원전계약 진상조사'와 관련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면서 "협상 과정에서 법과 규정에 맞는지, 절차가 맞는지 보고 있다"고 답했다.
'석유화학 사업재편'과 관련해서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기업들의 구조조정 노력은 잘 진행되고 있다"면서 "기업들 간에 10월쯤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제시했다.
이어 "이것은 기업 구조조정이 아니라 산업 구조재편"이라면서 "정부와 기업, 금융권이 공동의 작품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가장 큰 원동력은 기업이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을 분명히 갖고 있고, 정부는 그 절박함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6일 저녁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정책 현안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5.09.16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