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뉴스
주요뉴스 중국

아시아 전쟁 패러다임이 확~ 중국 항모 푸젠함이 움직이면

기사등록 : 2025-08-27 17:1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은 9월 3일 베이징 중심부인 천안문 광장과 장안대로에서 '중국인민 항일전쟁및 세계반파시스트 전쟁(2차세계 대전) 승전 80주년 기념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승전 80주년 대회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각국의 정상급 지도자들이 참석한다. 우리나라에선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념 대회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최신예 무기와 무인체계 자동화 전투 플랫폼 등의 전략 장비를 앞세운 열병식이다. 80주년인 올해 대회에는 자율 전투 탱크, 함재기, 신형 미사일, 전투 드론, 젠 전투기 등의 분야에서 사상 최다 신형 장비가 공개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현재 중국은 종합 군사력에서 미국 러시아에 이어 3위에 올라있다. 4위가 인도이고 우리나라가 5위다. 1위 미국은 핵 탄두 5044발, 최신형 포드급을 비롯한 11척의 항공모함, 전투기 2100대를 비롯한 군 비행기 1만 3000대를 보유하고 있다. 핵탄두에서는 러시아가 5580발로 미국을 앞서고 있고 중국은 600발을 가지고 있다.

 

연간 국방예산 규모는 미국이 8860억달러, 러시아가 1260억달러, 중국이 314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핵을 제외하면 중국이 정규 전력에서 이미 러시아를 앞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국방예산은 중국의 약 7분의 1수준인 463억달러다.

중국은 현역 정규군 203만 명에 마하 1.8의 젠 20 전투기 300여대, 글로벌 최대규모인 754척의 함정을 거느리고 있다. 신형 탱크와 함재기, 1만4000킬로미터 사거리의 동펑 대륙간 미사일도 중국의 중요한 무기 체계다.

하지만 이런 모든 무기들을 압도하며 이번 2차대전 승전 80주년 기념대회에서 중국의 군사력을 만방에 과시할 히어로는 중국의 동해, 상하이 근해에서 대기중인 세번째 항공모함 푸젠함(福建舰)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베이징 안팎에서 파다하게 나돌고 있다.

중국은 이번 2차대전 승전 80주년 기념대회를 계기로 자체 기술로 제작해 시험 운항까지 마친 최신형 푸젠함을 공식 취역 운영(실전 배치)시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푸젠함은 아시아 지역 해전과 군사 작전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세계 군사전략가들은 전망한다.

앞서 중국은 소련(우크라이나)서 매입한 랴오닝함과 재래식 스키점프식(Ski-jump) 갑판의 산둥함 등 2척의 항모를 취역시켰다. 하지만 푸젠함은 기존 항모와 달리 중국 최초로 전자기 캐터펄트(EMALS, 전자기탄사)방식의 이륙 체계를 갖추는 등 최신기술을 채용했다.

푸젠함이야말로 바다위의 공군기지, 중국의 진짜 항공모함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은 9.3 전승절 기념대회를 앞두고 국영방송 CCTV등의 매체를 통해 푸젠함 해상시연 장면을 공개했는데 3개의 전자기 캐터펄트 발사기를 장착하고 있고 만재 배수량 8만여톤 급에 길이와 넓이가 각각 317~320미터, 76~78미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푸젠함은 상하이 장난(江南)조선소에서 제작돼 2022년 6월 진수 명명식을 가졌고, 2024년 5월 첫 시험 항해에 돌입했다. 푸젠함은 미국 최신형 포드급 항공모함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핵추진 채택시 항모 작전 반경과 체공 능력이 크게 향상돼 미국 항모와의 기술 격차가 급격히 축소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최근 중국 매체에 공개된 중국 세번째 항공모함 푸젠함. 사진=CCTV 캡쳐.   2025.08.27 chk@newspim.com

세번재 항모 푸젠함에 이어 중국은 2024년 이미 네번째 항공모함 건조에도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네번째 중국 항모는 중국 최초의 핵 추진 기술 탑재 항모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건조중인 제 4 항모는 길이가 338~340미터로 푸젠함보다 20미터 길고, 미국 포드급 항공모함 333미터 보다도 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푸젠호가 실전 배치 후 운영 안착 단계에 들어선 후 중국은 네번째 사양(4세대 급)의 최첨단 기술 항공 모함 양산을 가속화해 2030년 경에 가서는 최신 기술 4세대 급 항공 모함 보유대수를 5~6척으로 늘릴 것으로 중국 안팎의 군사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항공모함은 해상 위를 움직이는 공군 기지로 첨단 전투기와 조기 경보기 등 70~ 90대 각종 함재기를 탑재하고 제해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한 채 전투를 벌인다. 철의 방패 전단이라는 별명 처럼 이지스 구축함, 미사일 방어 순양함, 대잠수함 방어를 비롯한 항공기 미사일 함선 지상군 타격 등 완벽한 전투능력을 갖추고 있다.

항공모함은 단순한 전력으로서 만이 아니라 국력과 국제 정치및 외교적 영향력의 도구로서 상징성을 지닌다. 실제로 항공모함은 출현 만으로도 상대국에 무력을 과시하고 엄청난 압박을 가한다. 2차대전 승전 80주년 기념대회를 계기로 가능성이 제기되는 푸젠함의 취역은 기술 전략적으로 동아시아 해양 균형을 좌지우지하는 일대 사건이 될 전망이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