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가 방위사업청 이전과 드론특화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성과를 발판 삼아 '국방산업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대전시는 2022년 드론특화 방산혁신클러스터에 선정된 이후 방위산업 생태계 육성에 힘쓰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대전 서구 월평동으로 방위사업청이 임시 이전하면서 대덕특구와 국방과학연구소(ADD), KAIST 등 지역의 첨단 과학기술 인프라와 연계한 방산 거점 도시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왼쪽 네번째)과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왼쪽 다섯번째), 서철모 대전 서구청장(왼쪽 세번째)이 방위사업청 기공식에서 시삽을 하고 있다. 2025.03.11 jongwon3454@newspim.com |
대전시는 2026년까지 총 490억 원을 투입해 방산특화개발연구소 구축·운영, 국방·드론 기술사업화 지원, 시험장비 구축, 신규 창업 지원 등 종합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그 결과 민선 8기 이후 국방벤처센터 참여기업은 144개 사로 두 배 늘었고 지역 기업 19곳이 방위사업청 '방산혁신기업 100'에 선정돼 95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같은 기간 매출 484억 원 증가, 신규 고용 609명 창출, 775억 원 투자유치, 특허·인증 221건 등 실질적 성과도 이어졌다.
성과는 산업계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지난 6월 KAIST와 공동 연구개발에 참여한 지역 기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73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군 소요 발사형 공격드론 전투실험에도 참여하는 등 사업화가 현실화되고 있다.
시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첨단국방과학도시 조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약 48만 평 규모의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를 2026년 착공해 2027년 분양할 계획이며, 국방 반도체 자립화를 위해 '국방 반도체센터'를 출범시켜 무기체계 시험과 인증 체계를 정립한다.
또 방산 생태계 활성화, 핵심 부품기업 지원, 전문인력 양성, 투자금융 설립 등 전주기 지원사업을 병행하고, 2026년까지 '대전로봇드론지원센터'를 완공해 시험·실증·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028년 방위사업청 신청사 건립으로 이전이 완료되면 연간 18조 원 규모의 국방조달 예산이 대전에서 집행되는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며 "대전의 우수한 방산기업과 과학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전을 명실상부한 'K-방산수도'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