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한일 간의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과 관련해 "국가 간 합의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유지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책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고 국민과 피해자·유족 입장도 진지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23~24일 일본을 찾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3일 방일을 앞두고 21일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를 했다. 사진은 지난 8월 13일 이 대통령이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
이 대통령은 한일 간의 최대 현안 중에 하나인 위안부와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 노력하며 적대적이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서 나가면 될 것"이라고 해법을 제시했다.
박근혜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이뤄진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 해법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국 국민으로서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전 정권의 합의"라고 규정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국가로서의 약속이므로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유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 "(일본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면서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협력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하고 협력 가능한 분야를 넓혀야 한다"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희망했다.
일본 측이 요구하는 수산물 조기 수입에 대해 이 대통령은 "일본 일부 지역 수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신뢰는 개별 문제"라면서 "한국 국민의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 것은 2023년 5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