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정부가 자본시장 혁신을 통한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 성장단계 특성에 따라 주식시장을 재구조화한다.
코넥스는 벤처·중소기업 위주로, 코스닥은 성장·중견기업 위주로, 코스피는 우량·대기업 위주로 조정된다. 기업의 성장단계별 특성에 따라 코넥스-코스닥-코스피 시장의 역할을 재정립한다는 방침이다.
코넥스시장은 애초 벤처 및 중소기업의 성장사다리 역할을 하도록 2013년 출범했지만, 최근 상장기업수 급감, 거래량 감소, 정부지원 축소 등으로 기능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 |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옮기려면 시총 750억원 등 엄격한 조건이 요구되는 반면, 기술특례상장 등 코스닥 상장 요건이 완화되면서 코넥스를 거치지 않고 코스닥에 바로 진입하는 기업이 늘어 존재 의미가 유명무실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 기능 중복, 차별성 약화로 인해 코스닥와 코넥스 통합, 기능 재정립 필요성이 업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돼왔다. 코스닥도 최근 주도 업종의 약화와 양극화 등 구조적 한계로 인해 성장세가 더딘 문제가 지적됐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는 그간 '증권시장 경쟁력 강화 연구용역' 등 구조개편 필요성을 검토해왔고, 전문가들도 중소기업 성장 단계별 자본시장 역할, 투자자 보호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왔다.
정부는 성장유망 기업이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아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고, 투자자금 회수가 용이하도록 주식시장 진입·퇴출 요건을 전반적으로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혁신기업 주식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비상장주식 거래플랫폼'을 제도화하고, 코스닥벤처펀드 활성화,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확대로 건전한 IPO(기업공개)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앞서 금융위원회와 거래소는 지난 1월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을 통해 코스닥과 코스피 상장 요건을 단계적으로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코스닥 상장은 매출 30억원, 시가총액 40억원만 넘으면 가능하지만 2029년에는 매출 100억원, 시총 300억원 이상으로 상향된다. 코스피도 상장유지 기준이 매출 300억원, 시가총액 500억원으로 변경된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