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뉴스
주요뉴스 경기남부

김동연 '달달버스' 첫 행보...1000억 투자유치·반도체 허브 가속 페달

기사등록 : 2025-08-20 15: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 발판...日 의존도 낮춘다
K-반도체 벨트 완성도 높인다...글로벌 클러스터 도약
100조 투자유치 약속 눈앞...도민 삶의 질과 직결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강화와 민생경제 현안 해결을 동시에 겨냥한 대장정을 시작했다.

20일 오전 평택 포승지구 공사 현장에서 열린 TOK첨단재료 평택포승공장 착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시삽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평택 포승읍에서 열린 TOK첨단재료㈜ 공장 착공식에 참석하며 '민생경제 현장투어(달달버스)'의 첫 일정을 소화했다. '달달버스'는 '달려간 곳마다 달라진다'는 뜻을 담은 상징적 프로젝트다.

◆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 발판…"K-반도체 벨트 완성도 높인다"

이날 착공한 포승공장은 총 1010억 원이 투입돼 내년 7월 준공 예정이다. 세계 1위 포토레지스트 기업인 TOK의 한국법인인 TOK첨단재료㈜가 직접 운영하며, 완공 시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핵심소재의 국내 자급률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김 지사는 "반도체는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첨단 전략산업"이라며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안정적 생산기반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사업은 김 지사의 첫 해외 투자유치 행보였던 2023년 일본 방문의 결실이기도 하다. 당시 김 지사는 가나가와현 TOK 본사를 직접 찾아 타네이치 노리아키 대표와 MOU를 체결했으며 2년 만에 구체적 착공으로 이어졌다.

20일 오전 평택 포승지구 공사 현장에서 열린 TOK첨단재료 평택포승공장 착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평택 포승·현덕지구를 서해안 관문 거점으로 용인·이천·화성·안성 등과 함께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 중이다. 이날 착공식은 이른바 'K-반도체 벨트' 완성도를 한층 높이는 계기로 평가된다.

김 지사는 "경기도를 반도체 국제허브로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TOK의 평택 투자가 벨트 완성에 속도를 더해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 100조 투자유치 약속 눈앞...'달달버스' 첫날, 반도체와 관세 두 축

이번 1000억 원대 투자 유치는 김 지사가 내건 '임기 내 100조 투자유치' 공약의 진척도와도 맞닿아 있다. 현재까지 91조 원을 달성한 가운데, 김 지사는 "두 달 내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투자유치는 곧 일자리 창출이며, 도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날 행사에는 정장선 평택시장, TOK·삼성·SK하이닉스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지역경제 파급효과에 무게가 실렸다.

20일 오전 평택 포승지구 공사 현장에서 열린 TOK첨단재료 평택포승공장 착공식에서 TOK 대표이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착공식 이후 김 지사는 곧장 평택항 마린센터로 이동해 자동차·부품업계 관계자들을 만났다. 이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이후 국내 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현실을 직접 '경청-소통-해결'하겠다는 행보다.

김 지사는 지난 3월 업계 간담회를 통해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미국 출장에서는 미시간주와 협력 채널을 구축해 대응책을 모색한 바 있다. 이후 도는 중소기업 특별경영자금 1000억 원 지원으로 방어막을 마련했다.

이번 현장 행보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변화된 업계 반응을 확인하고 추가 지원책을 검토하는 성격을 띤다.

김동연 지사의 이번 민생투어 첫 일정은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와 클러스터 확장과 자동차 업계 관세 대응이라는 '투자-무역' 두 축으로 짜였다.

20일 오전 평택 포승지구 공사 현장에서 열린 TOK첨단재료 평택포승공장 착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시삽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제 관료 출신인 김 지사는 이날 현장에서 "도민의 일상과 직결된 현안을 직접 듣고 정책으로 풀어내겠다"고 말했다. 이는 단순한 투자성과 과시가 아닌 글로벌 공급망과 지역경제를 동시에 챙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행보로 평가된다.

1141world@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