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뉴스
주요뉴스 GAM

[GAM]불마켓 대역사 쓴 A주③ '강세장 기수' 증권주가 뜬다

기사등록 : 2025-08-20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8월 18일 A주 강력한 불마켓, 이정표적 기록 달성
상하이지수 10년래 최고치, 시총 100조 위안 돌파
강세장 선행지표, 1순위 수혜주인 '증권주' 재평가
호실적+저평가 2대 매력 속 '강력 매수' 의견 봇물

이 기사는 8월 19일 오후 4시0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불마켓 대역사 쓴 A주①② '강세장 기수' 증권주가 뜬다>에서 이어짐.

◆ '상승지연+저평가', 기관 "매수 타이밍"

증권 섹터의 향후 흐름과 관련해 현지 시장에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다중적인 호재성 요인이 섹터의 상승세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 결과 현지 증권사가 내놓은 최신 리포트에는 '증권주 강력매수'의 투자의견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방정증권(方正證券) 비은행금융 팀은 현재 증권주가 '주가 상승 지연'의 국면에 놓여 있으며,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늦게 오른 만큼 더 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밸류에이션의 리레이팅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라는 설명이다.

활발한 거래와 규제 혁신이 증권 섹터의 반등을 지지해줄 것으로 내다보면서, 현재 증권 섹터는 약 25%의 밸류에이션 추가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광발증권(廣發證券)은 '네 가지 논리'를 들어 증권주를 전략적으로 매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 중장기 자금이 정책 유도 하에 지속적으로 주식시장에 유입되고, 구조적 조정이 전환점을 맞이하는 가운데, 저금리와 자산부족 환경이 보험자금, 자산관리, 공모펀드 등의 주식 비중을 확대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했다.

이는 증권사의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신용거래대주∙신용거래융자(兩融), 자산관리, 투자은행 등 전 사업 부문 성장에 동력을 제공하며 업계의 새로운 성장 사이클을 열 것이라는 설명이다.

[사진 = 중정지수유한공사 공식 홈페이지 캡처] 중국증시 대표지수 산출업체 중정지수유한공사가 A주를 대표하는 49개 증권사 종목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CSSW증권섹터지수(中證申萬證券行業指數 399707)를 통해 살펴본 2025년 이후 8월 18일까지 증권섹터 주가 추이.

둘째, 증권업계의 자산운용(자기자본투자) 구조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장기간의 '채권 강세장'으로 자금이 편중되어 왔으나, 저금리 시대에 장기 금리가 하락하고 배당 매력이 높아지면서 주식시장의 흡인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사의 주식투자 확대가 실적의 탄력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자산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증권 섹터의 매수 매력을 높이는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2023년 이후 지방채무 리스크 완화 조치가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4년 들어 부동산 정책의 '복합적 성과'가 두드러지면서 시장 신뢰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 지방정부가 설립한 국유기업으로 도시 인프라 건설 및 공공서비스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조달∙투자 등을 담당하는 도시건설투자회사(城投)가 늘어나고, 부동산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금융기관의 비표준자산 위험 또한 낮아지고 있다.

증권사 재무제표 내 자산 감가손실 규모의 감소, 영업수익(매출) 내 감손 비중의 축소 등은 자산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위험 완충 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참고로 증권사가 금융자산(채권, 주식 등)을 보유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하락할 경우, 손익계산서에 이를 감가손실로 인식하게 되는데, 해당 자산의 가치가 다시 회복되거나 처분될 경우 관련 감속 규모와 비중은 줄어들게 된다.

넷째, 수익 회복 국면에서 증권 업계의 비용 절감 효과가 이익 탄력성을 키울 전망이다.

2024년부터 매출이 회복되는 가운데 관리비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업계 종사자 수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해 인건비가 효과적으로 통제되고 있다. 향후 AI 기술 등을 응용한 디지털화로의 전환 가속화와 집약적 관리에 기반해 증권업은 ROE 상승 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칭다오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중국 칭다오(青島)시 소재 중신증권 사무소 내 모습.

중신건투(中信建投)는 감독당국이 업계 인수합병을 심화하고 자율 규제를 강화함으로써 업계를 '라이선스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변모시킬 것이라고 평했다.

또 유동성 측면에서 완화적 통화정책, 보험사의 주식 투자 확대 등이 장기 자금의 시장 유입을 확대하며 시장 거래심리를 지탱하고 거래대금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이 모든 요인이 하반기 증권 섹터에 있어 강력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강증권(長江證券)은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증권주의 투자가치가 크다고 강조했다.

첫째, 금융업계 내에서 증권주는 상대적으로 주가 상승이 지연되고 있어 밸류에이션 안전 마진이 높다는 점. 둘째, 눈에 띄는 상반기 실적 호조세가 기대된다는 점. 셋째, A주와 H주 간 프리미엄 절대치가 여전히 높고 H주 밸류에이션 회복이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실적 개선 폭이 크고 밸류에이션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량 대형 증권사에서 투자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중타이증권(中泰證券) 역시 정책 지원과 유동성 완화 기대 속에서 증권주에 대한 투자기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실적과 밸류에이션에서 더블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평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