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뉴스
주요뉴스 정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55년 연구개발 투자효과> 발간

기사등록 : 2025-08-18 11: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국방연구개발 55년 역사… 투자 대비 경제효과 한눈에 요약
55년 연구개발 투자로 697조 원 경제효과와 38만 명 고용 창출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지난 55년간의 국방연구개발을 통해 우리 군의 전력 증강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자가 발간됐다.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는 창립 55주년을 맞아 국방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경제효과와 산업연관효과 등을 분석한 <국방과학연구소 55년 연구개발 투자효과>를 공개했다.

국과연이 발간한 <국방과학연구소 55년 연구개발 투자효과> 책자 표지. 국과연은 이 책에서 55년간의 국방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효과를 분석했다. [사진=국방과학연구소] 2025.08.18 gomsi@newspim.com

첨단 과학기술이 현대전의 판도를 바꾸는 상황에서, 지난 55년간 국과연의 국방과학기술 투자는 단순한 국방력 강화에 그치지 않고 국가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과연은 1970년 창립 이래 총 303개의 무기체계를 개발했고, 이 중 146종을 전력화하며 우리 군 전력 증대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현재 세계 8위권에 올라섰다.

지난 55년간 투입된 국방연구개발비는 약 65조 원에 불과하지만,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예산절감, 전력증대, 사회적 연구개발 비용 절감, 기술파급효과 등으로 약 697조 원의 경제효과를 이끌어냈다. 특히 국과연이 개발한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비용 절감만으로 약 575조 원에 달하는 획기적인 예산 절감효과를 거뒀다.

산업적 측면에서도 고용 창출 효과가 두드러진다. 분석에 따르면, 국방연구개발비 분야에 10억 원이 투자될 경우 약 6.29명의 직·간접 고용이 창출되고, 이와 연계된 관련 산업을 포함한 전체 고용유발 인원은 약 38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확대가 안정적인 고용창출과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국방과학기술은 K-방산 성공의 밑거름이 됐다.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2025년까지 전 세계 23개국 이상에 약 60조 원 규모의 무기체계 수출계약을 체결했고, 15개 방위산업체의 총 32개 수출품목에 대해 국과연이 직접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기여도는 약 26조 원으로, 전체 수출액의 약 43%를 차지했다. 특히 수출액 1위와 2위를 기록한 천궁II와 K9 자주포는 모두 국과연 주관으로 연구·개발된 대표적인 성과물이다.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장은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이 국가 안보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및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은 매우 뜻 깊은 일"이라며 "국과연은 향후 국방뿐만 아니라 경제와 과학기술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방과학연구소 55년 연구개발 투자효과>는 국과연 누리집(http://www.add.re.kr)을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gomsi@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