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박승원 광명시장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를 시정과 밀접하게 연결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 |
박승원 광명시장이 지난 6월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주권정부 국정과제 대응 전략 TF'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광명시] |
경기 광명시는 이재명 정부가 발표한 123대 국정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정과 연계한 실행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국정과제 연계 실무추진단'을 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박 시장은 "국민주권정부의 국정과제는 그간 광명시가 이루어 온 자치분권, 탄소중립, 기본사회 등 지속 가능한 정책과 맥을 같이한다"며 "시정이 국정과제와 유기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내실 있는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재명 정부의 주요 정책과 국정과제가 광명시에서 실현돼 시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시는 실무추진단이 국정과제와 일치하는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해 10개 분과를 운영할 예정이다.
기존에 구성된 국정과제 대응 전략 TF의 ▲민생경제 ▲시민안전 ▲탄소중립 ▲기본사회 ▲자치분권 ▲사회적경제 ▲균형발전 ▲지역공약 등 8개 분과에 ▲K-콘텐츠·아레나 유치 ▲미래산업 유치 등 2개 분과를 추가 설계했다.
각 분과는 국정과제와 부합하는 시정 사업을 발굴하고, 정부 재원 및 공모사업과 연결해 시 발전 기회를 넓히는 데 중점을 두기로 했다.
신설된 K-콘텐츠·아레나 유치 분과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에 대규모 공연·문화 복합 공간을 조성해 한류 거점 도시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래산업 유치 분과는 인공지능(AI), 미래모빌리티, 디지털혁신, 친환경 제조 및 재생에너지 신산업 등 미래 성장 동력을 지역에 설계하는 전략을 추진해 새로운 일자리와 산업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다.
기본사회 분과는 '500인 시민원탁토론회'를 활용해 교통·주거·돌봄·의료 등 생애 주기별 광명형 기본사회 정책을 시민과 함께 설계하고, 발굴 과제를 국정과제 세부 목표와 연결할 예정이다. 특히 전국 최초로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기본조례' 제정을 추진해 체계적인 기본사회 정책의 추진 기반을 조성한다.
자치분권 분과는 시민이 행정의 주체로서 참여하는 '시민주권정부'를 실현하기 위해 주민자치회 실질화, 원탁회의 및 시민공론장 활성화, 동장 공모제를 도입해 시민 주권을 확대할 예정이다.
사회적경제 분과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공공 구매 확대 및 지역 공동체 자산화 사업 로드맵을 수립하고, 상생경제 모델을 구체화하며, 사회연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국비 사업 연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분과는 '1.5℃ 기후의병' 확대, 탄소중립 포인트 활성화, 햇빛 발전소 확충,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범 사업 및 100% 자원 순환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도입한 '기후회의'를 정례화해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거버넌스를 확립할 계획이다.
민생경제 분과는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력하고, 시민안전 분과는 재난 및 재해 예방과 안전망 확충에 집중할 예정이다.
또한 균형발전 분과는 원도심과 신도시의 균형 개발 및 광역교통망 확충을 담당하고, 지역공약 분과는 지역공약 실현을 위한 이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는 국정기획위원회의 전문가와 분야별 외부 자문단을 실무추진단에 참여시키고 실행 전략 수립에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실무추진단은 9월까지 수시로 실무회의를 열어 국정과제를 분석하고 연계 가능 분야를 선정하며, 단기 및 중장기 우선 추진 과제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후 이행 계획과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해 하반기 추경 및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하고, 정부 예산과 공모사업의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