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상반기 IT 빅3 엇갈린 성적표, 하반기 전략은?

기사등록 : 2025-08-14 16:0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네이버·카카오, 수익성 개선 속 호실적…NHN은 영업이익 감소
AI·커머스·핀테크, 성장 가속…하반기 승부수는 'AI' 혁신
하반기 주주 가치 제고와 신사업 투자도 병행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내 주요 IT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 NHN이 올해 2분기 상반된 성적표를 받았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매출 성장과 비용 효율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높이며 호실적을 거둔 반면, NHN은 핵심 사업의 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하반기에는 3사 모두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각 사는 AI 기술을 핵심 사업에 접목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존 사업의 효율성을 높여 주주 가치를 증대하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14일 증권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네이버, 카카오, NHN은 올해 하반기에도 엇갈린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작년 상반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NHN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같은 기간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카카오·NHN 로고. [사진=네이버·카카오·NHN]

네이버의 하반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 6조 2,324억 원, 영업이익 1조 1,954억 원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매출은 11.27%, 영업이익은 12% 증가한 수치다.

카카오의 하반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4조 1,691억 원, 영업이익 3,519억 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하반기 대비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70.83% 늘어난 수준이다.

NHN의 하반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조 3,285억 원, 영업이익 593억 원, 순이익 303억 원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대비 매출이 6.0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한 수치다.

◆ 네이버, 2분기 'AI·커머스' 동반 성장으로 견조한 실적 달성

네이버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2조 9,151억 원, 영업이익 5,216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7%, 10.3% 증가한 수준이다. 당기순이익은 4,9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8% 늘었고, 영업이익률은 17.9%를 기록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서치 플랫폼 매출은 1조 36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으며, AI 기반 서비스와 피드 확대가 광고 매출을 8.7% 성장시켰다. 커머스 매출은 8,6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늘어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안착, 멤버십 강화, N배송 경쟁력 확대가 주효했다.

핀테크 매출은 4,11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고, 네이버 페이 결제액은 20.8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늘었다. 콘텐츠 매출은 4,7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으며, 웹툰 반등과 카메라 앱 유료 구독 확대가 기여했다.

하반기 네이버는 AI 기술을 핵심 사업에 접목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익화 기회를 넓히며, 커머스와 핀테크 성장 가속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AI 기반 서비스와 피드 확대로 사용자 체류 시간을 늘리고, 광고 지면 최적화와 타게팅 고도화를 통해 광고 매출 확대를 꾀한다. AI 브리핑 커버리지를 연내 20%까지 늘리고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해 트래픽과 피드형 광고 수익화를 강화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안착과 멤버십, N배송 경쟁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가며, 하반기에는 컬리 앱마트를 출시해 신선식품·생필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새벽 배송을 시작할 예정이다. 스마트 스토어 거래액 성장과 수수료 인상 효과로 중개·판매 매출 증대가 기대된다.

또한, 연내 페이스 사인 등 결제 단말기를 출시해 온·오프라인 금융 연결성을 강화한다. 아울러 태국 소버린 LLM, 모로코 AI 데이터 센터 구축, 사우디 로보틱스 사업, 일본 '클로바 케어콜' 등 해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스페인 C2C 기업 왈라팝 인수를 통해 글로벌 C2C 사업과 커머스 AI 데이터 확보를 추진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 클라우드는 데이터 센터 구축, GPU 운용,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그리고 이를 서비스에 직접 적용한 경험까지 보유한 국내 유일 사업자"라며 국내외 소버린 AI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또 "네이버가 보유한 독자적인 데이터 역량과 하이퍼클로바X 개발 경험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제휴와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병행하는 데 큰 강점"이라며 "사우디, 동남아 등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의 수요에도 적극 대응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자신감을 전했다.

◆ 카카오, 매출 둔화 속 수익성 '역대 최대'...하반기 '전 국민 AI 시대' 실현

카카오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2조 283억 원, 영업이익은 1,859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 영업이익은 39% 늘어난 수준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당기순이익은 1,6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2% 증가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플랫폼 매출은 1조 5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늘었으며, 톡비즈 매출이 5,421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 증가했고,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늘었다. 톡비즈 커머스 매출은 2,21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증가했고, 통합 거래액은 2조 5,000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 늘었다. 모빌리티·페이 매출은 4,3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콘텐츠 매출은 9,73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 감소했으나, 뮤직과 스토리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 늘었다.

카카오는 하반기에 '발견 탭(가칭)' 신설과 AI 혁신을 중심으로 카카오톡을 대대적으로 개편해 이용자 참여를 확대하고 광고·커머스 등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카나나' 앱의 CBT를 거쳐 카카오톡 내에 AI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도입, '전 국민 AI 시대'를 열 방침이다. 또한, 톡비즈 성장 재가속을 위해 광고·커머스 부문을 강화하고, 커머스 사업 역시 자기 구매 확대, 명절 선물 큐레이션, 맞춤형 상품 추천 고도화로 발견형 커머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트래픽 성장이 자연스럽게 수익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본격적으로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카카오톡 개편 이후 첫 번째 탭(친구)과 세 번째 탭(숏폼 비디오)에 PV형 광고 모델을 도입해 이용자 콘텐츠 탐색과 광고 지면 확장을 동시에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카카오톡의 트래픽 규모에 비해 광고 시장 내 점유율은 아직 낮은 수준으로, 이는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뜻"이라며 "이번 개편을 통해 새로운 광고주 예산 확보가 가능할 것이고, 하반기에는 전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도 AI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 NHN, 2분기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 감소…하반기 게임·결제·클라우드 사업 강화

NHN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6,049억 원, 영업이익 219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9% 늘고, 영업이익은 23% 감소한 수치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1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6% 증가하며 흑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게임 매출은 1,1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으며, '한게임포커클래식' 신규 콘텐츠와 '컴파스' 콜라보 이벤트가 성장에 기여했다. 결제 매출은 3,0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늘었고, 기술 매출은 1,0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며, 기타 부문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다.

NHN은 하반기에 한게임 25주년을 맞아 웹보드게임 경쟁력을 강화하고, 서브컬처 수집형 RPG 신작 '어비스디아'를 8월 일본 시장에 출시한 뒤 글로벌로 확장할 계획이다.

NHN 판교 사옥 전경. [사진=NHN]

또한 오픈 베타 피드백을 반영한 '다키스트데이즈'를 연내 정식 출시하고, '프로젝트 STAR'는 내년 상반기 출시를 준비 중이다. 결제 부문에서는 페이코 사업 체질 개선과 핵심 서비스 집중으로 손익을 개선하고, NHN KCP와의 연계도 강화한다. NHN 클라우드는 과기정통부 'GPU 확보·구축·운용 지원 사업' 최다 수행사로 선정된 가운데, 내년 1분기까지 엔비디아 B200 GPU 7,000장 이상을 확보·구축할 예정이다. 주주 환원 정책도 강화해 3개년 계획에 따라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병행하며 주주 가치를 높일 방침이다.

정우진 NHN 대표는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과 함께 수익성과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는 한편, 새롭게 발표한 3개년 주주 환원 정책을 충실히 이행하며 주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