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8-08 17:37
[파주=뉴스핌] 최환금 기자 = 파주시가 K리그2 가입 신청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역 시민단체가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시민 참여 부족 등을 이유로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파주시민네트워크(이후 시민네트)는 7일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에 파주시민 1380명의 서명을 전달하며 신중한 검토를 요구했다고 8일 밝혔다.
파주시가 지난 6월 27일 K리그2 가입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파주시민네트워크는 재정 건전성 문제와 시민 체감 효과 미흡, 절차적 타당성 부족을 문제 삼으며 가입 신청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 |
파주시민네트워크 관계자가 파주시 K리그2 가입 신청에 승인 재검토를 요구하며 1인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파주시민네트워크] 2025.08.08 atbodo@newspim.com |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명을 통해 시민 의견을 모았고, 8월 6일까지 시민들이 서명에 대거 참여했다. 이후에도 온라인 서명은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파주시민네트워크는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서명과 요청서를 전달하고 면담을 진행했다. 주요 요구 사항은 ▲파주시민축구단의 K리그2 가입 신청 재검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건전성과 시민 의견 수렴 여부를 포함한 가입 승인 심사 기준 강화 ▲향후 K리그 진입 요건에 재정 자립성과 공공성 관련 구체적 기준 제시 등이다.
김성대 파주시민네트워크 대표는 한국프로축구연맹 사무국장과의 면담에서 "K리그2 가입 신청 과정이 파주시민들과 충분히 공론화돼야 하며, 축구팬과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방향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맹 사무국장도 "신청 심사 강화와 진입 조건 구체화 요청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대한축구협회 관계자도 서명과 요청서를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파주시민네트워크 관계자가 파주시 K리그2 가입에 대한 시민 1380명의 서명 문구를 들고 있다. [사진=파주시민네트워크] 2025.08.08 atbodo@newspim.com |
파주시민네트워크는 오는 13일 파주시의회에서 '파주시 K리그2 가입 신청에 관한 시민토론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더욱 수렴할 계획이다. 이 단체는 2021년 창립 이후 공공성과 시민 참여, 지방자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활동해왔다.
파주시 K리그2 가입 신청…시민 의견 여부·재정 건전성 지적
파주시가 K리그2 가입 신청을 공식화한 것은 지역 스포츠 발전과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2020년 K4리그 우승 이후 K3리그에 진출한 파주시민축구단은 6월 27일 한국프로축구연맹에 K리그2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파주시는 첨단복합 돔구장 건립과 함께 스포츠 중심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파주시민네트워크를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는 이번 가입 신청이 충분한 시민 공감대 없이 추진됐다고 비판한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프로축구단 운영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성과 참여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 |
파주시청 모습. [사진=최환금 기자] 2025.08.08 atbodo@newspim.com |
절차적 측면에서도 시기와 과정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시민 의견 수렴이 미흡한 상태에서 신청이 이뤄졌고, 이에 대한 충분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파주시민네트워크는 이번 서명 운동과 토론회를 통해 시민 의견을 공식적으로 모으고, 축구연맹 측에 이를 전달하며 심사 기준 강화와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현재 K리그2 가입 심사 기준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재정 자립성과 공공성 관련 구체적 기준을 마련해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엄격히 심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는 파주시뿐 아니라 향후 K리그 진입을 희망하는 다른 구단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파주시의 K리그2 가입 추진은 지역 스포츠 활성화와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으나, 시민 의견 수렴과 재정 건전성 확보라는 기본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갈등과 반발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파주시와 축구연맹은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atbod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