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8-06 14:02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TV를 비롯한 전통 디스플레이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며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인공지능(AI)·친환경 소재·폼팩터 혁신을 앞세워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두 회사는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에서 각각 퀀텀닷(QD) 디스플레이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중심으로 한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 |
조성찬 삼성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연구소 부사장 [사진=디스플레이산업협회] |
조성찬 삼성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연구소 부사장은 브라운관(CRT), 액정표시장치(LCD), OLED를 거쳐 QD디스플레이로 이어진 기술 진화 흐름을 설명하며 "QD는 OLED 대비 색 재현력과 명암비에서 우위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AI·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로보틱스가 결합된 초연결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AI를 잇는 창"이라며 "확장현실(XR)·웨어러블·스트레처블 등 다양한 폼팩터와 친환경 소재 전환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력 효율 강화를 위해 OPR(온 픽셀 제어), 멀티 주사율 구동, 편광판 제거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편광판 제거만으로도 절반 가까운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실리콘 옥사이드 등 친환경 소재 적용을 확대하고, 독성 화학물질 사용을 줄이는 공정 혁신도 추진 중이다. AI는 소재와 픽셀 구조 설계, 발광 특성 최적화 등 연구개발 전 과정에 적용해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높인다.
![]() |
황상근 LG디스플레이 대형영업1담당 상무 [사진=디스플레이산업협회] |
황상근 LG디스플레이 대형영업1담당 상무는 "소비자 행동 변화로 전체 TV 시장 성장은 어렵지만, 하이엔드·프리미엄 TV의 비중은 늘고 있다"며 "OLED는 하이엔드 시장에서 이미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 메인스트림 시장에서도 같은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4세대 OLED 기술을 공개했다. 적·녹 발광층을 분리해 밝기를 33%, 색 재현력을 4% 높였고, 에너지 효율은 10% 향상시켰다. 차세대 5세대 OLED도 이미 개발 라인에 올려 성능과 색감에서 또 한 번 도약을 예고했다. 회사는 설계·구매·제조 전 영역에 AI와 디지털 전환을 도입해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양사 모두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인정하면서도 돌파구를 기술 혁신과 세그먼트 전략에서 찾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하이엔드 성공 모델의 메인스트림 확장'을,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술 융합과 응용 시장 다변화'를 내세운다. 공통적으로 AI를 전력 효율 개선, 제품 성능 향상, 개발 기간 단축의 핵심 도구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LG디스플레이는 전날 전사적인 인공지능 전환(AX)으로 품질 개선 소요 기간을 3주에서 2일로 단축하고 연 2000억 원 이상 수익성 개선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엣지 설계 AI'는 한 달 걸리던 이형 패널 외곽 설계를 8시간 만에 완료하고, 광학 설계도 5일에서 8시간으로 줄였다. 사내 AI 어시스턴트 '하이디'는 업무 생산성을 10% 높였으며, 외부 솔루션 대체로 연 100억 원 비용을 절감했다.
황 상무는 "OLED TV가 향후 몇 년 안에 다시 한 번 도약할 가능성과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