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사회

채해병 특검 "지난 25일 임기훈 소환…구명로비·수사외압 면밀히 조사"

기사등록 : 2025-07-31 11: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주요 당사자 비화폰 통신내역 순차적으로 받는 중"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팀이 지난 25일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기록 회수 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정민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31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주 금요일(25일) 임 전 비서관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며 "이로써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한 국가안보실 소속 5명에 대한 조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팀이 지난 25일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기록 회수 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사진은 정민영 특검보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이어 "특검은 7월 31일 회의 전후 상황, 즉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일으키게 한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 결과에 대한 재검토 관련 외압 의혹과 구명로비 의혹을 더 면밀히 조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임 전 비서관은 지난 25일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회의 도중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이렇게 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나. 그동안 여러 차례 강조했는데 왜 업무를 이렇게 처리했는가'라고 말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회의에 참석했던 국가안보실의 김태효 전 1차장,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조태용 전 실장 등도 앞선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는 모습을 봤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VIP 격노설'이 나온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7명 중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정 특검보는 김 전 장관 소환 계획과 관련해 "아직 정해진 일정이 있는 건 아닌데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소환 일정에 대해선 "아직 말씀드릴 정도로 협의된 건 없으나 조만간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유 전 관리관은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이후, 국방부 검찰단이 채해병 사망사건 초동조사 기록을 경찰로부터 회수했던 2023년 8월 2일까지 대통령실·경찰 관계자 및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 등과 여러차례 연락한 핵심 인물이다.

한편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김건희 여사·이 전 장관·조 전 실장·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에 대한 통신기록을 대통령 경호처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출받고 있다.

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 통신기록) 삭제 지시 관련한 얘기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만약 삭제됐으면 해당 경위도 확인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수사기록 회수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직권남용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이 전 비서관이 휴대전화 비밀번호 제공과 잠금 해제를 위한 얼굴 인식에도 협조하기로 해서 오늘 포렌식 절차 일부도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hong90@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