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사회

서울건강총괄관에 '저속노화' 정희원 박사 위촉…건강도시 강화

기사등록 : 2025-07-31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건강 관점 정책 자문·아이디어 제안 역할
저출산·초고령 대응 위한 건강 중심 시정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정책 전반에 건강 관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 제도인 '서울건강총괄관'을 도입하고, 초대 서울건강총괄관으로 정희원 박사(전(前)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를 위촉했다고 31일 밝혔다.

건강총괄관은 시정 전반의 정책 수립·시행 과정에서 '시민 건강' 관점의 자문에 응하는 한편,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문 분야에는 건강 관련 정책 발굴·개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건강 증진,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건강복지정책,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환경 조성 전략 등이 포함됐다. 

정희원 서울건강총괄관 [사진=서울시]

시는 저출산·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와 건강 형평성을 확대하기 위해 건강 중심의 시정운영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 제도 도입의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시는 그간 시민의 큰 호응을 얻은 '손목닥터 9988', '덜달달 프로젝트' 등 건강 정책에 건강총괄관의 전문성과 아이디어가 더해져 정책의 완성도와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강총괄관은 시장 직속 비상근직으로, 임기는 2년이며 8월 1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정희원 박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까지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저속노화', '자기돌봄', '돌봄 예방' 등 건강한 삶에 대한 대중인식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이동률 시민건강국장은 "서울건강총괄관이 기존 정책들을 건강 관점에서 폭넓게 들여다보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건강이 시정 전반의 핵심 가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책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