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7-25 18:29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대통령실은 25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정부는 현지 협상단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국익 최우선 원칙 아래 한미간 상호이익이 될 수 있는 협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통상대책회의를 마치고 브리핑을 통해 "미국 현지에 우리 대표단의 협상 결과를 보고받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통상대책회의를 마치고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7.25 [사진=연합뉴스TV 캡처] |
대통령실은 또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종료되는 다음달 1일 전 협상을 마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 실장은 관세협상 유예시한 연장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8월 1일 시한을 전제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8월 1일 이후 데드라인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정보는 없다"고 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29일 스코틀랜드를 방문하는 것에 대해서는 "스코틀랜드 일정을 감안해서 협상하고 있다"며 협상 방식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탑다운, 바텀업으로 이뤄진다고 보긴 어렵고, 미국 쪽의 의사결정 방식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감안해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협상안에 농축산물 시장 개방이 포함돼 있냐는 질문에는 "협상 품목 아래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김 실장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4일(현지시각)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한미 제조업 협력 강화 방안을 포함해 관세 협상 타결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김 실장은 "조선, 반도체를 비롯한 전략 제조 분야에서 상호협력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고, 앞으로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며 "8월1일 이전 상호호혜적 타결 방안 도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우리 측은 양국 간 제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 관세 완화를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산업부 장관과 통산교섭본부장은 미국에 계속 체류하며 미국 현지시간으로 25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부 대표와 러트닉 상무장관과 추가 협의를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미국 측이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협의를 취소한 것을 두고 통상협상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 한미 간 협상 전선에 이상기류가 생긴 게 아니냐는 말도 있지만 협상은 계속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안보 분야 패키지가 다른 분야보다 좀 더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며 "안보 분야의 안정적 에너지가 타 분야의 선순환적 효과를 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김용범 정책실장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하는 통상대책회의를 개최하고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정부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