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지자체

[의학정보] "잘못된 응급처치가 오히려 상처 키워"

기사등록 : 2025-07-21 12:4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모두가 알아야 할 여행 안전 수칙의 기본 '올바른 응급처치'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바다, 계곡, 산 등지로 떠나는 인파가 많아지는 요즘. 낙상, 열상, 해충 피해는 물론 낙뢰나 익수까지 다양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사고가 응급처치만 제대로 이뤄져도 큰 문제 없이 회복될 수 있지만, 잘못된 대처법으로 인해 상황이 악회되는 사례가 번복되고 있다.

강릉아산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이유진 교수.[사진=강릉아산병원] 2025.07.21 onemoregive@newspim.com

강릉아산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이유진 교수는 "귀에 들어간 벌레를 면봉으로 꺼내려다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서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있고, 바다에서 해파리에 쏘인 후 식초를 뿌렸다가 피부가 더 심하게 악화된 환자도 있었다"며, "휴가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지만, 잘못된 응급처치는 오히려 상처를 키울 수 있어 정확한 대처법을 숙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귀에 벌레 들어갔을 때…식용유 한 방울로 질식시켜야
야외에서 취침하거나 숙소에서 잠을 자다 보면 벌레가 귀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대부분은 면봉이나 핀셋으로 벌레를 꺼내려다 귀 안쪽에 상처를 내고, 벌레를 더 깊숙이 밀어 넣는 실수를 범한다.

벌레가 살아 있을 경우 귀 안에서 '윙윙' 거리는 소리가 크게 들리는데, 이때 당황해서 무리하게 건드리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식용유나 올리브오일을 한두 방울 귀에 떨어뜨려 벌레를 질식시킨 후, 가까운 응급실이나 이비인후과에서 안전하게 제거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해파리 쏘임…바닷물로 세척하고 식초 사용은 금물
여름철 해수욕 중 해파리에 쏘이는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국내 연안에 출몰하는 해파리는 대부분 치명적인 독성은 없지만, 쏘인 부위에 피부 발진과 통증,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문제는 응급처치 과정에서 잘못된 민간요법을 사용하는 경우다. 식초나 기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 교수는 "일부 해파리 종의 경우 식초가 오히려 독침 세포를 자극해 독 성분이 더 많이 방출될 수 있다"며, "쏘인 부위는 생수나 수돗물이 아닌 바닷물로 씻어내고, 촉수가 남아 있다면 신용카드 같은 플라스틱 도구로 조심스럽게 긁어 제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부종이 심하면, 진통제나 항히스타민제 처치가 필요하므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뱀물림 사고…입으로 독 빨기는 '영화 속 이야기'
산과 계곡 등지에서는 뱀물림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많은 사람이 영화에서처럼 상처 부위를 칼로 째거나 입으로 독을 빨아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실제로 감염과 출혈을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정확한 응급처치는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하고, 부목이나 천으로 고정해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즉시 119에 신고하는 것이다.

이 교수는 "팔이나 다리를 너무 꽉 묶어 혈류를 차단하면 조직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며, "묶을 때는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여유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열상(피부가 찢어짐) 발생 시 지혈제 사용 금물…압박 지혈이 기본
손가락, 발가락, 얼굴 부위는 혈관이 밀집해 있어 열상이 발생하면 출혈이 심할 수 있다. 이때 시중의 지혈제나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으로 상처 부위에 이물질을 바르면 오히려 감염을 유발하고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출혈 시 상처 부위에 깨끗한 거즈나 천을 대고 지속적으로 압박해 지혈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고 강조했다.

◆열사병이 의심 시 즉시 119 신고…체온 40℃ 넘으면 생명 위험
야외활동 중 의식이 흐려지고 피부가 뜨거워지며 땀이 나지 않을 때는 열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열사병은 체온 조절 중추가 마비되면서 체온이 40℃ 이상까지 상승해 장기 손상이나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응급질환이다.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한 후 그늘지고 시원한 장소로 옮겨 옷을 느슨하게 한 뒤 물수건이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낮춰야 한다. 얼음주머니가 있다면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대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만,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물이나 음료를 강제로 마시게 하면 기도폐쇄 위험이 있어 절대 금해야 한다.

◆벌 쏘임 사고…'아나필락시스' 위험 신호 놓치면 안돼
여름철 캠핑이나 등산, 계곡 피서 중 벌에 쏘이는 사고도 흔하다. 대부분은 국소적인 통증이나 부종만 유발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특정 성분에 대한 전신 알레르기 반응으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고, 호흡곤란이나 의식 저하까지 발생하는 응급질환이다.

벌에 쏘인 뒤 갑자기 입술, 얼굴, 목이 부어오르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아나필락시스를 의심해야 한다. 이럴 경우 망설이지 말고 즉시 119 신고가 필요하다.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이전에 벌에 쏘여 심한 두드러기나 호흡곤란을 경험한 사람은 안정을 취하며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아나필락시스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에피네프린 자가주사기(EpiPen)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강릉아산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이유진 교수는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언제든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지에서도 항상 경각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미한 찰과상부터 열사병, 낙뢰 사고까지 모든 상황에서 응급처치만 제대로 해도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며, "응급처치는 모두가 알아야 할 '여행 안전 수칙'의 기본이다"고 강조했다.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