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7-21 12:13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자치도와 전주시, 지역 정치권이 21일 완주·전주 통합에 대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밝히며, 주민이 제안하고 협의한 105개 상생발전방안을 '통합시 설치법'에 명문화해 법적 효력을 부여하겠다고 발표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 정동영·이성윤 국회의원,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번 통합이 도민 주도형임을 강조하며 과거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실질적인 통합 실행 계획을 공개했다. 김윤덕 의원은 청문회 준비로 불참했으나 뜻을 함께했다.
105개 상생발전방안은 과거 청주·청원 통합 사례처럼 주민 간 약속을 법률에 담아 이행력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또한 완주·전주 통합과 연계해 '거점 특례시 지정'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 |
완주-전주 통합 관련 합동 기자회견[사진=전북자치도]2025.07.21 lbs0964@newspim.com |
특례시는 광역시에 준하는 권한을 갖게 되며, 완주는 탄탄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특례시 중심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대통령 공약이며 비수도권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정부 차원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통합 과정에서 주민 권익 보장을 위해 전북자치도는 지난 2월 도의회와 함께 '통합시군 상생발전 조례'를 제정해 시군 간 세출 예산 비율을 12년간 유지하고 교육·복지·농업 예산 확대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
도지사 직속 상생발전이행 점검위원회를 운영해 예산 편성과 사업 실행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현장 체감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정동영 의원은 "청원과 청주의 세 차례 실패 끝 성공 사례처럼 이제는 전북이 행동할 때"라고 말했다. 이성윤 의원은 "완주·전주 통합은 단순 행정 개편 아닌 생존 전략이며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 극복 유일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우범기 시장은 "채무는 적자성 부채와 도시 자산으로 남는 건전 채무로 구분해야 한다"며 "토지 매입 등 미래 세대를 위한 공공재 성격 재정 투입으로 단기 재정 적자로만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관영 지사는 "105개 상생과제 이행 담보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청주·청원 사례를 참고해 법적 효력이 있는 이행체계를 구축하고 점검위원회를 완주 군민 시각에서 직접 추진 상황 점검하도록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김 지사는 완주군으로 전입신고를 마쳐 주민과 직접 소통 의지를 보여줬다.
완주·전주 통합 논의는 지난해 6월 완주군민 6152명의 서명으로 시작됐으며 지방시대위원회가 타당성을 인정했고 현재 행안부 권고 및 주민투표 절차만 남겨둔 상태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