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GAM

[GAM] ②中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본격화 시그널에 상승모멘텀 확대

기사등록 : 2025-07-17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휴머노이드 로봇 섹터 둘러싼 호재성 이슈 등장
양대 로봇 제조사 역대 최대 규모 구매입찰 성과
하반기 양산 검증기 진입, 기술적 돌파 성과 주목
하반기 주가 상승 기대, 주목할 3대 투자방향 진단

이 기사는 7월 16일 오후 4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中 휴머노이드 로봇① 양산 본격화 시그널에 상승모멘텀 확대>에서 이어짐.

◆ 기술적 돌파 주목할 세부 밸류체인 영역

만련증권(萬聯證券)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는 양산 검증의 핵심적 시기가 될 전망이다.

2023년 11월 중국 당국이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 발전 가이드라인'은 2025년에 대량 생산을 실현하고, 2~3 곳의 글로벌 영향력 있는 기업을 육성하며, 제조·민간 등의 응용분야에서 시범 적용을 전개할 것을 명확히 요구하고 있다.

테슬라, 피규어AI, 노르웨이 로봇 스타트업 1X 테크놀로지스(1X Technologies), 미국 로봇 개발사 어질리티 로보틱스(Agility Robotics) 등의 해외 선도기업들과 유니트리, 애지봇, 유비텍, 중칭로봇(眾擎機器人) 등의 중국 대표 기업들은 2025년에 초기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관심을 가져볼 휴머노이드 산업체인 영역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다.

AI 대모형(大模型, 대형언어모델<LLM>에 해당)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영혼을 불어넣는 핵심 열쇠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잠재력을 해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최근 몇 년간 국내외 업체들은 자체 대형언어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현재 로봇 하드웨어보다 뒤처져 있고 전체 밸류체인에서 가장 약해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한 영역으로 꼽힌다.

[사진 = 유니트리 공식 홈페이지] 유니트리(宇樹∙위수∙UNITREE)가 개발한 'GO2' 로봇독(Robot Dog).

하드웨어 영역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용 정밀 감속기(Reducer) 산업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본격적 양산은 정밀 감속기 시장에 수백억 위안의 추가 수요를 가져올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시점이 다가오면서, 감속기 공급망의 핵심 위치에 있는 주요 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감속기는 모터의 출력 회전 속도를 낮추고, 이를 통해 출력 토크(Torque, 회전력)를 높이는 기계 장치다. 모터는 자체적인 회전 속도 조절 능력이 없어 감속기를 통해 회전 출력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은 토크 출력값 즉, 회전력이 높아질 경우 자동차의 경우 더 빨리 바퀴를 돌릴 수 있는 만큼 가속력이 향상되고, 로봇의 경우 더 큰 힘을 낼 수 있게 된다.

구조와 구동 원리 등에 따라 감속기는 △범용 감속기 △전용 감속기 △정밀 감속기로 분류된다.

응용 범위 또한 매우 광범위해 공업용 기계, 자동차, 항공우주,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그 중 정밀 감속기는 가벼운 무게와 높은 출력으로 공업용 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 CNC 공작기계(수치제어 장치를 결합한 자동화 공작기계) 등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산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동방증권(東方證券) 양전(楊震) 애널리스트는 자본시장의 지원 아래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가 양산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더 많은 로봇 완제품 제조가 이뤄지면 부품 산업 체인의 업황도 동반 상승할 것이며, 업계 경기가 기대 이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16 pxx17@newspim.com

◆ 주가 상승 기대, 주목할 3대 투자방향

2024년 1월부터 2025년 6월 26일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지수는 성장형 테마 섹터로서 해당 기간 수 차례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가 A주 전체 종목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윈드 취안A지수(全A指數)'를 능가하는 흐름을 기록했다. 

이처럼 주가 상승 흐름을 이끈 동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정교한 로봇핸드의 업그레이드, 신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등 국내 기업들의 기술적 성과들이 공개되며 섹터의 밸류에이션을 직접적으로 끌어올렸다. 다음으로, 국가 차원의 로봇 산업 지원책 마련을 통해 해당 지수를 단계적으로 급등시키며 '정책-자금조달-주문'의 선순환 구도를 형성했다.

만련증권(萬聯證券)은 "현재는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화의 '여명기'에 해당하며, 양산 원년이 이미 시작됐다"면서 "테슬라, 피규어 AI(Figure AI), 화웨이(華為) 등 대형 기업들의 지속적인 투자는 업계의 진화와 기술적 돌파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휴머노이드 로봇의 양산과 대규모 응용이 가시화되고, 상업화 실현이 기대된다"고 평했다.

투자적 측면으로는 다음의 '3가지 방향'에서 투자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① 테슬라 옵티머스 테마주

테슬라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의 산업화가 뚜렷한 진전을 이루고 있고, 제품이 정형화됨에 따라 테슬라 옵티머스 공급망에서 확실한 기회가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상황 속 이미 진입했거나 진입이 유력한 테슬라 공급망 연계 핵심 기업에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② 화웨이 공급망 연계 기업

화웨이 공급망은 아직 초기 단계로 산업 생태계가 정립돼 있지 않은 만큼 향후 큰 잠재력을 지닌다는 평가를 내렸다.

화웨이는 '화웨이 인사이드(Huawei Inside∙HI)' 모델에 집중해 칩과 대형언어모델 플랫폼을 제공하고, 혁신센터를 통해 산업 생태계를 통합하고 있다.

참고로 화웨이 인사이드(HI)는 인텔과 PC업체의 협력 전략인 인텔 인사이드(Intel Inside)와 유사한 개념으로, 화웨이가 직접적으로 자동차를 제조하는 것이 아닌 HI 모델을 통해 파트너사의 자동차 제조에 참여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2025년 화웨이 개발자 대회와 로봇 양산 개시는 화웨이 생태계의 발전에 중요한 촉매가 될 수 있으므로, 화웨이 공급망 진입이 유력한 핵심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③ 저비용 양산 기술력 보유주

비용 절감은 휴머노이드 로봇 상업화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적 요건으로 평가된다.

높은 비용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규모 보급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므로, 핵심 부품 기술을 보유하고 저비용 양산을 실현한 기업, 그리고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규모 응용으로 인해 수혜를 입을 국산 부품 우량 기업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