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부동산

대출규제 시행 전 강남3구 아파트 가격 상승률 3% 넘겨…매수세 '냉각' 시작되나

기사등록 : 2025-07-16 10: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6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 전월 대비 0.14% 상승
서울(0.93%), 과천(2.59%)이 가격 상승세 주도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시장에선 강남권 매매가격 상승세 속 인근 비규제지역으로의 매수세가 확대가 관찰됐다. 정부가 지난 6월 27일부터 수도권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설정하고 전입도 의무화하는 등의 고강도의 대출 규제를 발표한 만큼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심리가 냉각될 전망이다.

(왼)지역별 주택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오)지역별 주택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KB경영연구소]

16일 KB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4% 상승했다. 수도권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다. 비수도권(5개광역시 -0.18%, 기타지방 -0.03%)은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흐름이 지속됐다. 세종(0.86%)은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장기화되면서 전월(1.20%) 대비 가격 상승 폭이 축소됐다.

강남3구 아파트 가격 오름세(강남 3.64%, 서초 3.17%, 송파 3.01%) 속 인근 비규제지역으로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양천구(3.05%), 성동구(2.68%)도 상승했다. KB부동산연구팀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달 27일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며 수도권 대출 규모를 제한하고 전입을 의무회하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에 나섬에 따라 매수시장은 당분간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7% 상향 조정됐다. 수도권(0.17%)은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비수도권(5개광역시 -0.01%, 기타지방 -0.04%) 은 낙폭이 줄었다.

올 하반기 예정된 신규 입주물량은 약 12만2000가구(수도권 6만4000가구, 비수도권 5만8000가구)로 상반기 대비 24.2% 감소하면서 당분간 전세시장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은 예정된 입주물량이 전 분기보다 17.0% 줄어들면서 아파트 전세 수요를 감안하면 전세가격의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7000가구로 전월 대비 1만1000가구 감소(-60.3%)했다. 상반기 월평균 분양물량은 최근 5년 평균(2만6000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약 1만2000가구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14대 1로 집계됐다. 서울에만 청약 수요가 집중댔다.

올 5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6만6678가구로 전월 대비 1115가구 줄었다.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주택 경기 회복, 분양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는 2만7013가구로 전월 대비 591가구 증가했다. KB부동산연구팀 관계자는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지속적 증가는 위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