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PPA 없인 탄소중립 못 간다"…한경협, 전력조달 해법 제시

기사등록 : 2025-07-14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4대 산업 무탄소전력 수요 급증
"PPA 확대하고 원전도 포함해야"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4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서만 오는 2042년 21.4TWh(테라와트시) 상당의 무탄소전력이 부족할 것이라 분석했다. 지난해 서울시 전체 전력소비량의 46.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경협은 14일 발표한 '전력구매계약(PPA) 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 산업의 무탄소전력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철강은 수소환원제철, 석유화학은 전기가열로 NCC 같은 저탄소 기술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도 글로벌 원청기업의 탄소중립 압박으로 무탄소전력 필요가 커졌다.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가 전력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ASML 등은 향후 10~15년 안에 넷제로를 목표로 삼았다. 국내 공급업체들도 무탄소전력 사용과 탄소 감축을 강하게 요구받는 상황이다.

재생에너지 수급은 개선되고 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오는 2038년까지 연평균 8.7% 늘어 4대 산업 전력소비 증가율(5.2%)을 웃돈다. 그럼에도 2038년 무탄소전력 충당률은 81.6%에 그칠 전망이다. 무탄소전력 수요가 전 산업으로 확장되면 이 비율은 더 낮아진다.

한경협은 보고서에서 전력구매계약(PPA)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PPA는 기업과 발전사가 직접 계약을 맺어 전력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녹색프리미엄과 함께 대표적 무탄소전력 조달 수단으로 쓰인다.

PPA 활성화를 위해 한경협은 재생에너지 구매 시 부담하는 망이용료, 전력기반기금 등 부대비용을 한시적으로 면제하거나 낮춰야 한다고 했다. 일본은 2020년부터 기업의 PPA 비용을 보조하고, 대만은 2023년부터 망 이용료의 80%를 깎아주고 있다.

또 전력배출계수를 최소 연단위로 공고해야 한다고 했다. 전력배출계수는 전력 1단위를 쓸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이다. 국내는 공고 주기가 불규칙해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과다 계산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국은 영국 30분 단위, 미국은 연단위로 공고한다.

무탄소전력(원전) PPA 해외사례 [사진=한경협]

PPA 범위를 재생에너지에서 기존 원전까지 넓히자는 주장도 했다. 미국, 프랑스처럼 원전을 포함하면 기업이 자율적으로 전력원을 선택해 무탄소전력 초과수요를 완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5년 원전 이용률 평균은 79.4%다. 이를 10%p 높이고 원전을 PPA에 포함하면 2042년 4대 산업 무탄소전력 충당률은 101.8%로 올라 초과수요를 해소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만으로는 같은 해 충당률이 93.0%에 그친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주력산업은 경영위기 속에 무탄소전력 요구까지 겹쳐 어려움이 크다"며 "효율적 무탄소전력 수급을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