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25-07-03 17:24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울산에 국내 최초의 100MW급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2030년까지 누적 300MW 이상의 용량을 확보해 연매출 1조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완성하겠다는 중장기 계획을 밝혔다.
3일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AI 데이터센터(AI DC) 사업부장 하민용 부사장은 사내 뉴스룸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이 같은 전략을 공개했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20일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SK-AWS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을 열고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 구축 계획을 공식화했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국내 최초로 100MW급 GPU 전용 데이터센터로 조성되며, 2027년 첫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 구로에 추가로 건립되는 AI DC까지 포함하면, SK텔레콤은 2030년까지 총 300MW 이상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대통령실] |
하 부사장은 이에 대해 "이후 가동률 상승에 따라 AI 데이터센터만으로 연 1조원 수준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며 "국내 1위 AI DC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울산 부지는 SK케미칼 소유 부지를 SK브로드밴드가 인수해 활용하며, 전력은 인근 SK멀티유틸리티의 300MW급 LNG 열병합발전소에서 공급받는다. 한국전력 대비 낮은 가격으로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울산 북신항에는 SK가스의 LNG 터미널과 LPG 저장시설이 위치해 있다.
네트워크 측면에서도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전국망 전용 회선을 통해 수도권과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부산 해저케이블을 통해 북미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과도 고속 연결이 가능하다. 건축과 운영에는 SK에코플랜트, SK AX(구 SK C&C), SK브로드밴드 등의 역량이 총동원된다.
SK텔레콤은 울산 AI DC를 기반으로 '엔드 투 엔드(End-to-End)' 패키지형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개발하고, 향후 한국은 물론 APAC 전역에 가장 저렴하고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공급할 계획이다.
하 부사장은 "울산은 산업단지 내 입지로 민원 부담이 적고, APAC AI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지리적 강점이 있다"며 "제조업 중심지인 울산에 AI를 접목해 스마트팩토리와 공정 자동화 등 다양한 AI 융합 사례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장기적으로 울산 AI DC를 GW(기가와트)급으로 확장하고, 국내외에 소버린 AI DC를 포함한 AI 인프라를 구축해 APAC, 중동, 미국 등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