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LG전자, 스마트팩토리 기술 '물류'에 이식…288조 신시장 공략

기사등록 : 2025-07-03 15:4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AI 번역중
스마트팩토리 사업 확대, 글로벌 수주 체제로 전환
로봇·AI 기반 물류 자동화…연평균 13% 성장률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LG전자가 공장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 무대를 물류 영역까지 확장하며, 조 단위 신성장 사업 구축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그룹 계열사 중심이던 내부 수요를 넘어 외부 고객 비중을 빠르게 끌어올리는 동시에, 산업용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앞세운 통합 자동화 솔루션을 무기로 글로벌 스마트물류 시장 선점에 나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제조업 기반 기술력을 토대로 스마트팩토리와 스마트물류 양 축에 동시에 박차를 가하며 신사업 외연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LG전자는 국내 최대 복합물류기업 로지스밸리와 스마트물류센터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공장 자동화 기술력을 물류센터 설계 초기부터 접목해 맞춤형 물류 솔루션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업계에선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중심의 사업을 물류 영역까지 본격 확대한 것을 전략적 변곡점으로 보고 있다.

◆ 외부 매출 비중 급증…조 단위 사업으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지난해 기준 외부 고객 대상 매출만 수천억원에 달하며, 올해는 2배 이상인 4000억원 이상을 목표로 잡았다. 과거 전체 매출의 90%가 LG그룹 계열사였던 데 비해, 올해는 외부 비중을 3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적용된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 냉장고 생산라인의 모습. [사진=LG전자]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지난해 기준 20여 개 글로벌 거래선을 확보하며 빠르게 외연을 넓히고 있다. 자동차, 전기·전자,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식음료(F&B), 중장비 등 다양한 제조업군으로 진입 중이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해당 사업을 조 단위 매출 규모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술적 기반은 생산기술원이 주도하고 있다. LG전자는 공장 설계부터 구축, 운영, 유지보수까지 아우르는 토털 솔루션을 제공한다. 디지털트윈 기반 생산 시스템, 산업용 로봇, AI 검사 모델, 이상 감지 솔루션 등으로 구성된다.

◆ 글로벌 스마트물류 시장 선점 노린다

이 같은 기술은 물류센터 자동화에도 적용된다. 박스 단위 포장과 물동 분류, 적재, 출고 등 사람 손이 많이 가는 공정을 로봇으로 대체하고, 디지털트윈 기반 시뮬레이션으로 최적의 물류 흐름을 설계한다. 비전 AI로 포장, 물동 분류 작업 등에서 발생하는 오류도 최소화한다.

특히 최근에는 CCTV 영상과 소리 정보를 함께 학습하는 AI 기반 이상 감지 기술도 고도화되고 있다. 설비 이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알림을 주는 시스템으로, 생산중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냉장고 생산라인에서는 10초 이내 포장이 어긋나도 알람을 통해 문제를 사전에 차단해 1시간짜리 정비를 10분 내로 단축한 사례도 나왔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이 개발한 자율주행로봇이 부품/자재 공급용 키트를 운반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시장조사기관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물류 시장은 올해 약 119조원(881억달러)에서 2032년 288조원(212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 13% 이상이 기대되는 고성장 분야로, LG전자는 스마트팩토리 기술력을 무기로 해당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이미 북미, 베트남 등 해외 고객사를 중심으로 스마트팩토리 수주를 확대 중이며, 일부 현지 고객과는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기반 기술을 물류와 글로벌 생산거점의 자동화·운영 효율화 영역으로 확대하면서, B2B 중심의 논하드웨어 사업 전략과 맞닿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kji01@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