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상호관세 유예 끝나면 판 바뀐다"…美 수입시장 점유율 '지각변동' 조짐

기사등록 : 2025-07-02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AI 번역중
올해 1~4월 멕·캐·日·韓·獨, 美수입시장점유율 일괄 하락
멕시코·인도, 美수입시장점유율·한국과 수출경합도 상승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오는 9일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될 경우 미국 수입시장의 축소와 함께 국가간 경쟁구도가 재편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트럼프 1기 이후 미국 수입시장 수출경합 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등 주요 대미 자동차 수출국의 점유율은 작년 대비 일제히 하락했다.

[자료=한국무역협회]

자동차·부품 품목관세(25%) 부과의 영향이 본격화되며 자동차·부품 수출국들의 대미 수출여건이 악화된 결과로 해석된다.

실제로 올해 1~4월 미국의 對세계 수입은 크게 증가(1조2242억달러)한 반면 대한국 수입은 감소하면서(417억  달러), 미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 순위는 작년 7위에서 올해 10위로 하락했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우리 주요 대미 수출품목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기계류, 화학공업, 반도체 등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또한, 보고서는 트럼프 1기 출범 전후인 2016년과 2024년을 기준으로 미국 수입시장 내 주요국의 수출 경합 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했다.

미국의 중국 견제와 보호무역 기조 장기화로 미국 수입시장 내 입지가 축소된 중국을 대체하며 부상한 멕시코와 인도는 우리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들 국가는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와 함께 우리와의 수출 경합도가 동시에 상승했기 때문이다

멕시코의 경우 USMCA 체결 이후(2020.7월 발효) 북미 내 생산기지로서의 입지를 다지며 자동차·부품과 기계류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했고, 인도는 정부 주도의 제조업 육성전략 시행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과 독일의 경우 수출 경합도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미국 시장 점유율은 두 국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동차·부품뿐만 아니라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등 우리와 매우 유사한 대미 수출구조를 보여 향후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경합도는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국가별 상이한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수입시장 규모의 감소와 함께 경합 품목을 중심으로 국가 간 경쟁 양상도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25%)보다 고율의 상호관세가 예고된 중국(54%), 베트남(46%), 대만(32%), 인도(26%)의 경우 기계류와 전기·전자제품을 중심으로 경쟁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관세에 따른 가격적인 이점으로 한국의 반사이익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본(24%), 독일(20%)은 우리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아 가격 측면에서 우위에 놓여있다고 봤다. 주된 경쟁 품목인 자동차 및 부품의 경우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품목관세를 일괄적용 받아 단기적 변화는 제한적일 것이나, 기계류 등에서는 우리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됐다.

김규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상호관세로 인한 대미 수출 감소에 사전 대비해야 한다"면서 "기업 차원에서는 생산 거점을 다양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여 과세 기준가격을 낮추는 한편, 미국 내 생산이 어렵거나 대체 가능성이 낮은 품목으로 수출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