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6-22 11:15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지난해 시작한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동참 활동 지원 시범사업'을 더 실속있게 개선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이 자율적으로 지원금을 사용해 자기 결정권을 확보하고 경제활동을 통해 자립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첫 시범사업에서는 24개 시설에서 218명의 장애인에게 1인당 최대 240만원의 지원금을 제공했다. 지원금은 사회생활활동, 학습·교육활동, 취·창업 활동, 건강·안전관리 등에 사용됐다. 예를 들어 30명이 자격증 취득과 수학 보습학원 수강 등 자립을 위한 활동에 활용했다.
올해부터는 지원 금액을 2배 늘려 최대 480만원으로 하고 지원 인원은 줄여 개인 맞춤형 지원에 집중할 예정이다. 올해의 지원 분야는 사회생활, 경제활동, 교육활동, 의사소통·관계개선 활동으로 재편성되며, 총 예산은 3억8700만원으로 계획됐다.
특화된 사례로 장애인 박 모씨는 의사소통 곤란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지역사회 동참 활동으로 메이크업 강좌와 스피치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키웠고 직장생활과 일상 모두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원금 사용처는 도박, 술, 담배 등 일부 지원 배제 품목과 사회활동과 연계되지 않는 단순 의식주 용도 등으로 활용할 경우 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한다. 시는 2028년까지 이 사업을 이어가며, 진행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향을 수립할 예정이다.
홍우석 장애인복지과장은 "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계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적"이라며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지역사회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실질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