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부산·울산·경남

울산시, 통일신라시대 창건 '용화사' 22년 만에 전통사찰 지정

기사등록 : 2025-06-05 14: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조선 후기부터 현대까지 이어진 미륵신앙의 전통

[울산=뉴스핌] 박성진 기자 = 울산시가 울주군 상북면에 위치한 '용화사'를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의미를 인정해 전통사찰로 지정했다.

시는 용화사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전통사찰로 공식 지정됨에 따라 울산시 전통사찰로 등록했다고 5일 밝혔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가운데)이 5일 시청 행정부시장실에서 울주군 상북면에 위치한 용화사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전통사찰로 지정됨에 따라 전통사찰 등록증을 용화사 현장스님에게 전수하고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울산시] 2025.06.05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는 용화사는 1777년 통도사본말재산목록에 최초로 기록이 확인됐다. 이 사찰은 언양지역 미륵신앙과 연관된 설화가 전승되고 있으며 조선 후기인 1844년에 제작된 산신도를 비롯해 신중도(1930년), 칠성도(1935년), 석조미륵존상 등 다양한 불교문화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1930년대에는 지역민들이 동참해 불사를 조성한 기록이 남아있어 지속적인 신앙 활동이 이어져 온 것으로 확인됐다. 전통사찰은 시대적 특색을 뚜렷하게 지니고 한국 고유의 불교·문화·예술 및 건축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산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이번 용화사의 지정으로 울산시는 총 12개의 전통사찰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2003년 북구 도솔암 이후 22년 만의 전통사찰 지정으로 그 의미가 크다.

울산시는 이번 용화사 지정을 계기로 울산 불교의 역사와 문화적 상징성을 널리 알리고 공업도시 이미지를 넘어 문화도시로서의 면모를 강화하기 위해 전통사찰 보수정비와 방재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화사 전통사찰 지정은 지역 내 불교문화의 가치와 역사를 재조명하는 뜻깊은 일"이라며 "울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도심 내 전통 불교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존 및 계승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날 오전 9시 30분 시청 부시장실에서 안승대 행정부시장, 용화사 주지 현장 스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통사찰 등록증 수여식'을 개최했다.

psj9449@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