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한은 美 FICC 준회원 자격 취득…미국 보증 RP 거래 가능

기사등록 : 2025-05-22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외화운용 효율화 차원' … 노르웨이 이어 중앙은행 중 2번째
"중앙청산 방식 이용해 결제 대금, 거래 위험 축소해 이점 커"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한국은행은 외화자산 운용의 효율화 차원에서 국내 최초로 미국 FICC 준회원 자격을 취득해 23일부터 미국의 보증 환매조건부채권(Sponsored RP) 거래가 가능해진다.

FICC(Fixed Income Clearing Corporation)는 미국 증권예탁결제기관(DTCC)의 자회사로 회원들에 대해 미 국채, 미 정부기관채와 주택저당채권인 모기지 유동화증권(MBS)의 청산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보증 RP는 일반 RP에 비해 중앙청산을 통해 결제 리스크를 감축하는 동시에 유리한 금리 수준과 거래 규모 확대 등으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은은 "보증 RP는 일반 RP의 개별청산방식과 달리 FICC에서 중앙청산방식으로 결제의무 이행을 담보함으로써 결제대금을 축소하고 결제완결성 보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중앙은행 중  보증 RP에 가입한 곳은 한은이 2022년 12월 가입한 노르웨이에 이어 두번째다. 국부펀드 등 공적투자기관에는 싱가포르투자청, 아부다비투자청, 쿠웨이트투자청이 있으며 국제기구중에는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이 가입했다.

보증 RP는 지난 2005년 최초 도입됐으나 초창기에는 일부 금융기관만 이용하다가 이후 청산회원, 준회의원 자격이 완화되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만 FICC 청산회원은 미 당국의 규제르 받는 미국계 은행과 브로커 딜러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청산회원중에는 미래에셋증권 미국 현지법인이 포함되어 있다. 

한은은 이를 통해 미 국채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롱 대응하는 모범사례로 국내 금융기관들의 이 시장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 국채시장의 리스크관리와 투명성 강화를 위해 오는 2027년 6월부터 민간 참가기관의 RP 거래 중앙청산 의무화를 예정하고 있다.

[자료=한국은행] 2025.05.22 ojh1111@newspim.com


ojh1111@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