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0-16 14:32
[서울=뉴스핌] 김용석 문화스포츠 부장 =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과 함께 '한강 앓이'는 신드롬을 넘어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자리할 것 같습니다.
읽는 이의 양심을 두드리곤 하는 그의 글은 개인의 고통과 사연이 곧 우리 모두의 이야기임을 일깨워주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감의 힘은 정치적 갈등과 모럴 해저드로 지친 우리에게 위로가 되어 줍니다.
노벨상 주최 측은 한강 작가를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녀의 작업은 삶과 죽음, 신체와 영혼 사이의 독특한 연결을 탐구하며, 독자들로 하여금 깊은 성찰에 빠지게 만듭니다. 마냥 한국이 좋아 한국어를 독학, 그녀의 작품을 전 세계에 전달한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는 숨은 공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의미 있는 것은, 한강 앓이가 문화 주소비층 30대 등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고 50~60대 독자층까지 포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계적인 공신력'을 인정 받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는 문학적 신드롬을 넘어, 세대와 시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신체와 정신,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한강 작품의 보편적 메시지와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