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6-18 16:31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전 세계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으로 떠오르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관련 민관 협의체를 출범하는 등 산업 육성에 시동을 걸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가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 육성 간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환경부·산업부·국토부는 간담회에서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도 공식 출범했다.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 생애 전주기에 걸쳐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 등 배터리 관련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의미한다.
환경부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관련 산업이 아직 본경 성장하지 않았지만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우리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높은 경쟁력을 토대로 미래 배터리 서비스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민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간담회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민관 공동 협의체는 업계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창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평가 및 운송·보관 등 공통 기준 마련, 배터리 교체 및 이동형 충전 등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추진 등도 협의체를 통해 추진될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가 함께 협업형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동식 전기차 충전서비스와 전기이륜차의 배터리 교환형 충전스테이션 설치 사업 등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기반시설을 확대하고 관련 분야 산업 성장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앞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협회(KAMA)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비즈니스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는 전기차의 코스트를 낮추고 활용성을 높여 전기차 수익성 개선과 보급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며 "민관 협의체를 통해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신산업 창출 및 EV 수익성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