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 신규 노선 유치 박차

기사등록 : 2024-04-23 09: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SM상선 북미 노선 2개 항만 하역 서비스 제공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내 최대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인 한진은 신규 항로를 유치하며 항만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한진 자회사 가운데 하나인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HJNC)은 5월부터 SM상선의 2개 북미 노선에 대해 항만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썸네일 이미지
한진 부산터미널 모습. [사진=한진]

SM상선의 CPX(CHINA PACIFIC EXPRESS) 서비스에는 6500TEU급 선박 6척이 투입되며 기항지는 청도-상해-닝보-부산-롱비치-포틀랜드-부산-광양-청도 순이다. 또한 PNS(PACIFIC NORTHWEST SERVICE)는 4300TEU급 선박 6척을 투입해 옌텐-닝보-상해-부산-벤쿠버-시애틀-부산-옌텐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두 서비스 모두 SM상선 선박으로만 운영되는 단독노선들이다.

㈜한진은 국내 최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로서 부산과 인천, 평택, 베트남의 국내외 4개 터미널과 의왕과 중부 등 7개 내륙기지 및 전국 내륙운송 네트워크를 통해 일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컨테이너선 대형화 추세에 맞춰 2만TEU급 이상 초대형 선박 접안이 가능한 장비와 최첨단 시스템을 갖추고 국제 항만 보안 및 안전기준을 적용해 국내 최고의 터미널 운영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반영해 한진의 터미널운영 사업은 2021년 2489억원, 2022년 2699억원, 2023년 2790억원으로 매년 성장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HJNC의 경우 총 면적 68만㎡ 부지에 2만TEU급 초대형 선박을 처리할 수 있는 동북아 중추 터미널이다. 2만4000TEU급 초대형선 2척이 동시 접안이 가능하고, 최신식 하역 장비를 통해 국내 최고의 생산성을 보유한 컨테이너 터미널 가운데 하나다.

한진 관계자는 "한진은 1974년 인천항에 국내최초 민자부두 건설 등 국내 항만물류 분야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온 전문성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사에 컨테이너터미널과 내륙 거점을 연계한 통합솔루션 제공을 통해 안정적인 수출입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aykim@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