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11-30 11:17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고 했던가,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가 실패로 끝났다. 밤잠을 설쳐가며 혹시나 유치 소식을 기다렸던 국민들은 예상보다 큰 표차에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 1년여간 떠들석했던 엑스포 유치전은 잔치상을 제대로 차려보지도 못한채 그렇게 막을 내렸다.
잔치상을 차리기 위해 전세계 96개국 정상을 150여차례 만났다는 윤석열 대통령도 누구보다 더 허탈해하며 고개를 숙였다. 윤 대통령은 "모든 것은 제 부족함"이라며 "엑스포 유치는 실패했지만 우리나라의 국토 균형발전 전략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국토 균형발전 전략을 언급하는 대목에서 한달 전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던진 김포시 서울 편입론이 떠올랐다. 현재 여당인 국민의힘은 '총선용 포퓰리즘', '서울 및 수도권 집중 가속화' 우려에도 당론으로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추진중이다. 뉴시티프로젝트위원회 위원장인 조경태 의원은 "김포-서울 편입을 반대하면 매국"이란 주장까지 하고 나섰다.
현재까지 김포 시민들을 제외하고 김포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는 것에 반대하는 여론이 우세하다. 반대여론과 별개로 김포-서울 편입이 서울 및 수도권 집중화를 더 심화시킬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전문가들은 수도권을 분산화하면 지방소멸 문제의 절반 이상은 자연스레 해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대통령의 국토균형발전 전략과 여당의 '김포-서울 편입' 추진이 상충되지는 않는지 재점검해야 한다. 아울러 행정수도 이전이나 국회 및 공공기관 이전, 서울대 폐지론 같은 획기적인 지방 분권화 전략에 대한 국민 여론 수렴도 서두를 때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