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10-23 15:44
이 기사는 10월 11일 오전 12시1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최대 통신장비 제조업체 화웨이(華為) 주최로 열린 '제14회 글로벌 모바일 브로드밴드 포럼(MBBF)'은 중국 5.5세대(5.5G) 이동통신 시대의 도래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무대가 됐다.
10월10일부터 11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5G-A를 현실로'라는 테마를 내걸고 열린 이번 포럼에서 화웨이는 관련 제품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시분할이중통신(TDD), 주파수분할이중통신(FDD), 밀리미터파(mmWave), 디지털실내시스템(DIS), 안테나, 마이크로파 MAGICSwave 등 6개 제품 라인을 포함해 5.5G 기지국 네트워크 구축에 활용될 전계열 솔루션 방안을 공개했다.5.5G는 쉽게 말해 5G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5G-A(5G-Advanced, 5G 진화)로도 불리는 5.5G는 5G와 6G의 중간 단계로, 6G 상용화를 앞당길 마중물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5G와 비교해 5.5G 기술이 갖고 있는 강점은 △10Gbps의 빠른 속도 △사물인터넷(IoT) 전면화 △통신감지 일체화 △L4급 자율주행 네트워크 구현 △친환경 에너지 ICT 기술 응용의 5가지로 압축된다.
후허우쿤(胡厚崑) 화웨이 순환회장(8명의 고위직 임원이 6개월씩 돌아가며 회장직을 담당하는 화웨이 그룹의 특수한 경영제도) 겸 부회장은 "대형언어모델(LLM), 챗GPT, 자율주행 등 신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기술 역량 또한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시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화웨이와 많은 통신업체들이 5G-A를 현실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투자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운데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발언했다.
참고로 후 부회장은 지난 9월 30일로 순환회장 직을 마무리한 멍완저우(孟晚舟) 부회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뒤를 이어 10월1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순환회장 직을 맡게 됐다. 이번 포럼은 후 부회장이 순환회장 직을 맡은 후 첫 공식석상 자리였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2024년 5.5G 제품을 전면 공개하고, 2025년부터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서는 것을 목표로 내선 화웨이는 지난 9월 11일 5.5G 제품 기능테스트를 모두 완료했다고 밝힌 바 있다. 화웨이는 2025년까지 5.5G 솔루션의 상용화를 실현해, 2030년 도래할 6G 시대의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한 상태다.
앞서 지난 6월 28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2023' 기조연설자로 나선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당시 순환회장은 "5.5G는 5G 네트워크의 발전에 있어 반드시 거쳐야 할 길"이라며 5.5G 솔루션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중국 5.5G 시대 임박② 상용화 관건은 '이 기술' 경쟁력>,<중국 5.5G 시대 임박③ 新 투자기회 등장할 '섹터&종목'>으로 이어짐.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