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구조조정과 안전인력 충원을 두고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서울지하철 파업이 현실화 됐다.
17일 서울교통공사노조 연합교섭단에 따르면 공사 노사는 이날 오후 3시부터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최종 조정 회의에 나섰으나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지노위는 핵심 쟁점인 대규모 인력 감축안에 대해 노사 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로써 공사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 등 쟁의 행위를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됐다.
공사와 연합교섭단은 7월 11일 제1차 본교섭 개시 이후 총 10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해 지난달 6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이후 연합교섭단은 지난 4일 지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고 12∼16일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73.4%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양측은 인력 감축 문제를 두고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공사는 지난해 기준 17조 6808억원의 대규모 누적적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26년까지 전체 정원의 13.5%인 2211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노조는 "일방적인 인력 감축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연합교섭단 공동대표인 명순필, 이양섭 위원장은 "안전과 시민 서비스 저하가 불가피한 대규모 인력 감축만을 강압적으로 추진한 것이 이 사태의 발단"이라고 사측을 비난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