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01-19 11:02
[세종=뉴스핌] 성소의 기자 = 정부가 19일 100개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을 들여다보는 안전관리등급 심사에 돌입한다. 오는 4월까지 심사를 마무리해 공공운영위원회에서 최종등급을 확정할 계획이다. 심사 결과는 작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된다.
기획재정부는 19일 최상대 2차관 주재로 '2022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단 전체회의'를 열고 작년도 안전관리등급 심사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는 건설현장 등 위험한 작업환경을 가진 공공기관의 안전 수준을 진단하고, 미흡한 부분은 개선시키도록 하는 제도로 재작년 도입돼 올해 세번째로 시행된다.이번에 실시하는 심사는 편람 마련과 대상 기관 선정, 심사단 구성 등을 거쳐 지난해 12월 26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 심사계획이 보고됐다.
이번 심사는 공기업(31개), 준정부기관(27개), 기타공공기관(42개)을 포함해 총 100개 기관이 받는다.
정부는 오는 4월까지 심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 4월 말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등급을 확정하고, 그 결과를 경영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최상대 차관은 "이번에 실시하는 안전관리등급 심사는 이태원 참사와 영등포역 탈선 사고 등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서 실시하는 만큼, 엄정하고 투명하게 심사해달라"고 밝혔다.
soy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