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2-02 16:00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총파업) 사태가 9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관련 손실이 1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멘트 분야는 출하량이 일부 회복됐지만 정유·철강 등으로 물류대란이 확산하고 있어 정부는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검토 중이다.
이 장관은 "업무개시명령이 발동된 시멘트 분야는 출하량이 이전보다 4배 가량 늘었지만 아직 평소의 절반에 못미쳐 전국 건설 현장의 60% 정도는 콘크리트 타설이 중단됐다"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유소의 재고 문제도 운송거부 사태가 계속되면 머지않아 전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업무개시명령서를 받은 운송사와 화물차주께서는 국가 경제와 민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 주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토교통부·지자체·경찰청 합동조사팀은 업무개시명령 조사대상 201개 운송사 중 193개사에 대한 현장조사를 완료했다. 조사 결과 운송거부가 발생한 83개 업체 가운데 운송사가 운송을 거부한 36개 업체에는 업무개시명령서를 현장에서 교부했다.
화물차주가 운송을 거부한 47개 업체에서는 총 777명의 화물차주 명단을 확보해 역시 현장에서 업무개시명령서를 교부했다. 합동조사팀은 5일부터 업무개시명령이 발부된 차주를 대상으로 운송재개 현황을 조사할 계획이다.
전국 12개 항만의 밤시간대 컨테이터 반출입량은 평시 대비 81%로, 지난달 28일 21%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산항은 95%까지 상승하며 평시 수준을 회복했지만 광양항은 지난달 25일 이후 평시 대비 0%~2%에 그치는 등 물동량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주유소의 경우도 수도권 외 충남·충북 지역으로 재고가 부족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존에 금지된 자가용 탱크로리 유조차의 유상운송을 임시 허가해 대체수송력을 보강 중이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