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1-29 17:06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 한 달이 된 29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애도기간에 매일 합동 분향소를 찾은 것과 달리 추모의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이태원 참사 한 달인 29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열고 집단 운송 거부를 하고 있는 화물연대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날 한 달이 된 이태원 참사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태원 참사는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는 것이 유족들을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이고 지금도 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여전히 중대본을 중심으로 유가족들에게, 그리고 치료받는 부상자들을 마지막까지 국가가 챙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노력들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태원 참사 희생자 65명의 유가족은 참사 한달을 맞아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유가족 협의회'(가칭, 이하 협의회) 준비모임을 꾸렸다.
준비모임은 지난 28일 성명문을 통해 "희생자 65명의 유가족들은 용기를 내어 협의회를 만들어보려 한다"라며 "정부에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며, 책임자들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준비모임은 "유가족들의 의사를 전혀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위패 없는 합동분향소를 운영하고, 추모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선심을 쓰는 양 장례비와 위로비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라며 "일부 책임자들에 대해서만 수사와 조사를 진행하면서 어떠한 설명도 유가족들에게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준비모임은 "추모공간과 소통공간 마련도 유가족을 배려하는 마음이 있었다면 일방적으로 '협의체 구성과 추모공간에 동의하냐'를 묻는 무례한 설문조사를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며 "'사과하라, 명백한 책임을 인정하라, 유가족과 협의하라' 단순 요구조차 응답하지 않는 정부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