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09-27 06:00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10년 단위로 장기적 국가교육정책 계획을 세울 국가교육위원회가 27일 출범한다.
국교위는 상임위원 3명을 포함한 21명으로 구성된다. 다만 교원단체 관련 처천 위원의 경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3개 단체가 추천 위원을 확정하지 못해 2명을 뺀 19명으로 출범하게 됐다.
위원 개인의 정치적 성향도 논란이 되고 있다. 대통령 몫으로 위원장으로 지명된 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이 박근혜 정부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지며서 야당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몫으로 상임위원에 추천된 정대화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내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게 실형을 선고한 재판부를 비판하는 글을 본인의 SNS에 올려 논란을 키웠다.
이와 함께 국교위가 교육부의 방패막이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국교위가 소극적으로 심의 또는 자문하는 역할만 할 경우 교육부의 정책 실패를 모면하기 위한 이른바 '책임 회피용' 기구로 전락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외에도 장관급 기구인 국교위가 제한된 예산과 조직으로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커지고 있다. 국교위에 공무원 정원 31명, 예산은 88억9100만원을 배정했다. 이는 국회 예산정책처 추계와 비교했을 때 정원은 3분의 1, 예산은 50% 수준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