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07-28 08:00
[서울=뉴스핌] 고홍주 기자 = 2022년은 우리 정치사에서도 특이한 해다. 민주주의의 꽃인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가 연달아 열리면서 상반기가 '선거 정국'으로만 훌쩍 지나갔다.
그래도 국회를 53일이나 빈 집으로 둔 건 좀 너무한 처사가 아닌가 싶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후반기 원 구성 지연의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고 네 탓 내 탓 하는 동안 국회는 2달여 간 텅 빈 채 개점휴업 상태로 있어야 했다. 그 사이 청문회 없이 임명된 새 정부의 내각 인사는 자그마치 4명이다. 민주당은 '청문회 패싱'이라며 정부를 비판했지만 상임위원장 몇 석 더 사수하는 게 그보다 더 대의를 위한 일이었을까.
그뿐인가. 21대 국회는 코로나19와 함께 개원했다. 벌써 3년째 이어지는 준(準) 비상상황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삼중고가 더해져 민생은 파탄 수준이다. 후반기 국회는 전반기 국회보다도 더 가열차게 달려야 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5월 30일 이후 여야 모두 당권 경쟁이나 원 구성 협상을 두고 기싸움에 몰두했을 뿐 민생고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없었다.
51일간 지속됐던 대우조선해양의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은 지난 22일 종료됐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국회의 개점휴업도 53일 만에 끝이 났다. 양자 모두 휴업을 끝내고 노동 현장으로 돌아왔지만 양자간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자들은 파업으로 인한 가동 지연에 손해배상책임을 질 위기에 처해있지만 국회의원들은 기한을 어긴 것에 대해 그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 사과도 없다. 뒤늦게라도 국회가 다시 돌아가기 시작했지만 새로운 원 구성 협상 때마다 반복되는 국회 공백에 국민들은 한숨만 쉴 뿐이다. 대체 국회는 누구를 위해 열릴까. 되묻지 않을 수 없다.
adelante@newspim.com